농산물 (2) 썸네일형 리스트형 만화로 보는 "2023년 하반기부터 이렇게 달라집니다" Top 11 1. 금융위원회 2. 보건복지부 3. 고용노동부 4. 식품의약품안전처 5. 식품의약품안전처 6. 농림축산식품부 7. 농림축산식품부 8. 해양수산부 9. 법무부 10. 법제처 11. 경찰청 위 만화 이외의 생활과 밀접한 내용 들도 있다. - 신용카드로 영화표 구매시 30% 소득공제 - 자동차 개별소비세 탄력세율 인하 종료 - 수술실에 CCTV 설치+환자나 보호자 요청시 촬영 위 내용의 원본은 아래에 링크해 두었다. https://www.moef.go.kr/com/synap/synapView.do?atchFileId=ATCH_000000000023425&fileSn=1 금 vs. 농산물, 1970년대 장기 인플레 시대에는 어느 것이 더 올랐을까? [목차] Ⅰ. 인플레이션이 장기 추세인 시대 Ⅱ. 1970년대 원자재 시세 Ⅲ. 금 시세 Ⅳ. 농산물 시세 Ⅴ. 결론 현재 인플레이션이 화두로 떠오르면서 시장참가자는 금.은, 옥수수.밀 등 금융시장에서 거래되는 원자재 종목을 금융 완화시 인플레이션 헷지를 위해 매수하고, 금융 긴축시 하락을 예상하여 매도한다. 하지만 인플레이션이 장기화된다면 원자재의 시세 '상승'은 장기적인 추세가 된다. 이 때 각 종목은 어떻게 움직일까? 어떤 상품을 사면 좋을까? Ⅰ. 인플레이션이 장기 추세인 시대 미국에서 인플레이션이 장기화된 때가 1970년대였고, 그때 인플레이션은 한 번만 온 것이 아니었다. 인플레이션은 세 차례에 걸쳐 세계경제를 강타했다. 아래는 당시 미국의 인플레이션율 및 정책금리 차트이다. 중앙은행이 완화하..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