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트코인 (3) 썸네일형 리스트형 逆헤드앤숄더즈 패턴 사례(알트코인,한국주) [목차] 1. 내가 逆헤드앤숄더즈 패턴을 제일 먼저 소개한 이유 2. 알트코인 사례 3. 한국주식 사례 ========================== 원래 '차트패턴'은 블로그 쓰시는 지인으로부터 영감을 받아 시작하게 되었다. - -)b 설명이 쉽고 직관적이다. 1. 내가 逆헤드앤숄더즈 패턴을 제일 먼저 소개한 이유 헤드앤숄더즈(이하, SHS) 패턴은 구미 등 선진시장에서 널리 사용되지만, 한국에서는 별로다. 왜? 한국에서는 개인이 숏포지션을 취할수 없기 때문에. 미국은 물론 일본만 하더라도 SHS 및 InverseSHS 패턴은 자주 사용된다. 나같은 개미들은 글로벌 추세에 역행하는 '공매도 금지'를 금융당국에게 청원할게 아니라, '공매도 정상화'를 주장해야 맞다. 볼멘소리는 단물빨던 기관에서 날것이다.. 비트코인, 이더리움 그리고 시즌 판단 -4/16 22 [목차] 1. 지금은 무슨 시즌인가? 2. 비트코인 3. 이더리움 4. 금리 인상보다 중요한 것 ================== 1. 지금은 무슨 시즌인가? 암호화폐 신봉론자의 주장과는 달리 트레이더 입장에서 암호화폐는 주식 특히, 나스닥과 차별화되지 않는다. 본질적으로 투자자가 같기 때문이다. 이는 흔히 상관계수로써 측정하는데, (전에 반응이 시원치 않았기에 -__-) 이 부분은 생략하려고 한다. 비트멕스 창업자 "비트코인·이더리움-나스닥 상관관계 높아져...급락 가능성↑" -coinreaders(22.04.11) 그래서... 첫째로, 나스닥 등 기술주와 암호화폐는 시즌이 '거의' 같다. ※ 상관계수가 크게 (-)이 되는 경우 주의를 요한다. 이 경우 가능하면 글로써 알리겠다. 둘째로, 같은 암호화폐.. 암호화폐 요약 (2022년 9주차) [목차] -성과 리뷰 Ⅰ. 주간 암호화폐 유출입흐름 (22년 02/25 자료 기준) 1. 거래소 유출입 2. 자산별 유출입 Ⅱ. 암호화폐의 유사(有事)시 용도 1. 전자결제 정지 및 뱅크런 2. 긴급 송금 및 기부 3. 국제금융규제로 인한 하이퍼인플레 4. 탈중앙집권화 5. 보유 및 보관 Ⅲ. Apple이 시사하는것 Ⅳ. 2개의 Map 차트 Ⅴ. Cardano ========================== -성과 리뷰 이번 주에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국제정세에 큰 변화가 있었다. 이에 따라 비트코인 등의 가격은 지금까지 연동되던 위험자산 주가와 디커플링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지만, 급락 및 급등 중에도 여전히 지지-저항선 범위내의 움직임이다. 이전 글에서 제시한대로 우선 일봉상 200MA 및 $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