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3) 썸네일형 리스트형 중국의 이란-사우디 외교관계 정상화 중개와 금융시장의 반응 [목차] Ⅰ. 중국의 이란-사우디 외교 정상화 중개 Ⅱ. 한국과 미국의 반응 Ⅲ.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 Ⅰ. 중국의 이란-사우디 외교 정상화 중개 3월 10일, 중국과 이란, 사우디 3개국에서 공동성명이 나왔다. 샤무하니 이란 최고안보위원회 사무국장과 아이반 사우디 국가안보고문은 3월 6일부터 10일까지 베이징에 머물며, 중국외교의 수장인 왕이(王毅) 중국중앙정치국 위원과 회담을 가졌다. 이란과 사우디는 2016년 1월 3일부터 단교 상태였다. 양국 모두 이슬람교 국가이기는 하지만, 시아파(이란)와 수니파(사우디)로 나뉘어 싸웠고, 특히 2016년 1월 2일에 사우디가 이슬람교의 시아파 성직자를 처형하면서, 이란에서 격렬한 반사우디 시위가 전개되어 왔다. 중동지역에서 양국이 화해한 의의는 크며, 중동주.. 2023년 첫 대규모 전쟁은 누가 시작할 것인가?(한반도 전쟁 가능성) 전세계적으로 긴장이 고조되고 있으며, 글로벌 분쟁은 2023년에 우리 모두가 주시할 큰 추세 중 하나가 될 것입니다. 최근 주류언론은 몇 개국의 잠재적 후보를 뽑았습니다. 1. 세르비아? 알렉산다르 부취치 세르비아 대통령은 현재 코소보 북부의 세르비아계 지역을 보호하기 위해 군대의 경계수준을 "최고수준 전투준비 상태"로 높였습니다. 코소보는 90년대 후반 유럽에서 마지막 전면전의 중심에 있었고 그곳의 긴장은 결코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서유럽의 강대국들은 자신들의 뒷마당에서 두번째 전쟁을 피하기 위해 필사적이며 양측은 여전히 외교적 해결이 가능한 것처럼 보입니다. 2. 북한? 트럼프 재임시 북한과의 관계는 훨씬 나았습니다. 그러나 이제 백악관의 조 바이든과는 지속적인 평화에 대한 희망은 .. 한국이 당면한 '미국-중국-러시아' 정세 및 투자포인트 [목차] 1.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목적 2. 러시아의 숨겨진 목적 3. 향후 글로벌 정세 4. 한국이 필요한 것 5. 투자자가 보고있어야 할 것 ==================== 1.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목적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목적은 크게 5가지로 알려져 있다. 국내 올해 11월 중간선거에서 친러시아파인 트럼프의 지지율 추락 외교 '中-러 동맹'과 EU 간의 관계 단절 물가 바이든 행정부의 인플레정책 실패를 해외전쟁 원인으로 유도 Biden blames US inflation on Russia sanctions, Moscow hits back Putin says his nation has ‘nothing to do’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