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은행' 태그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중앙은행

(6)
한국, 미국 등 7개국간 CBDC 활용 '아고라 프로젝트'에 참가한다 '아고라 프로젝트'(Project Agorá)는 토큰화된 예금과 기관용 중앙은행 화폐(CBDC)를 활용해 국가 간 지급결제(cross-border payments)의 효율성 개선 가능성을 모색하는 사업으로, 기축통화국인 미국(미국달러), 영국(파운드), 일본(일본엔), 프랑스(유로 사용지역 대표), 스위스(스위스프랑)에 더해 한국과 멕시코의 중앙은행과 민간기관이 참가한다. 대상국은 주로 금융국 및 제조국으로, 중국은 배제되었고, 중국의 소비에 종속적인 기존의 기축통화국 중 자원통화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는 제외되었다. '토큰화된 화폐'란 금융상품, 부동산 등 전통적인 자산을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플랫폼상에서 발행 · 유통될 수 있는 증표(representation)로 변환 또는 직접 발행하는 것으로 정..
미국은 양적 완화를 재개하고, 미국달러는 폭락할 것이다 -졸탄 포자르 졸탄 포자르가 Bitcoin 2023에서 現기축통화인 미국달러의 전망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목차] Ⅰ. 우크라이나 전쟁과 미국달러 Ⅱ. 미국달러로부터 이탈 Ⅲ. 기축통화의 끝 Ⅳ. 미국달러와 미국채의 하락 Ⅰ. 우크라이나 전쟁과 미국달러 모든 시작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다. 2022년 2월말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에 침공했다. 이에 대해 미국이나 EU 등은 러시아에 경제제재와 러시아가 가지고 있는 미국달러를 봉쇄하고 서방국가들이 통제할 수 있는 미국달러 중심 결제시스템에서 러시아를 추방했다. 그 뿐 아니라 러시아 경제제재에 참가하지 않는 국가에도 같은 위협을 해서 세계각국을 反러시아에서 단결시키려 했다. 하지만 미국과 EU 이외의 국가 들은 '惡'인 러시아를 비난하는 권선징악 스토리에 기꺼이 참여하지..
과거 40년간 상승시세를 전제로 미래 투자를 해서는 안 된다 -제프리 건들락 DoubleLine Capital의 제프리 건들락이 Yahoo! Finance에서 한 인터뷰 내용의 요약이다. 지난 수십년의 시세를 이끌어온 금융완화가 인플레이션 발생에 따라 종료될 때 자산가격이 어떻게 될까? [목차] 40년 지속된 저금리시세 40년간 계속 상승한 미국주 결론 40년 지속된 저금리시세 2022년 인류가 인플레이션에 대해 떠들기 시작할 때까지 선진국의 금리는 계속 내려오고 있었다. 정확하게 말하면, 금리 천장은 1980년이었다. 미국은 1970년대 물가상승을 금리 상승으로써 극복한 뒤 20%까지 상승한 정책금리를 40년간에 걸쳐 저하시켜 왔다. 미국의 정책금리를 장기적으로 보면 다음과 같다. 다음은 건들락의 코멘트다. "2022년까지 지난 40년간 장기적으로 보면 금리는 오로지 계속 ​​..
2023년  주요국 정책금리 발표 및 한국은행 금통위 개최 스케쥴 미국 FRB(Federal Reserve Bank)의 "FOMC 회의"로 대변되는 각국 중앙은행의 금리 등 금융정책 결정회의는 주식 및 외환 등 금융자산 가격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주가는 미국이 주도하는 경향이 있지만, 각국 중앙은행의 금리결정에 따라 환율페어가 변동, FX트레이더에게는 주요국의 금융정책 변동 모두가 중요하다. 주요국의 금리 변동은 금융자산의 가격변곡점이 될 가능성이 있다. 표 안의 숫자는 월에 해당하는 일자로서, 한국시간 기준으로 환산하였다. 다음은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회의 일정이다. 통화정책방향결정회의는 1월, 2월, 4월, 5월, 7월, 8월, 10월 및 1월 모두 8회이고, 금융안정회의는 3월, 6월, 9월 및 12월 모두 4회로 예정되어 있다.
이종우(전 IBK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 님의 '금리' 예측 '금리가 상당기간 현재 수준을 유지한다' 미국의 시장금리가 3.5~4.0% 사이에 머물고 있다. 지난 20년간 미국 10년물 국채 수익률 평균은 3.4%로 지금 금리 수준 정도다. 1900년 이후 120년간 미국의 금리가 지금보다 낮았던 때는 전체기간의 3분의 1밖에 되지 않는다. 나머지는 지금보다 금리가 높았는데, 이런 사실을 감안하면 지금 금리가 높은 상태가 아니라고 볼 수 있다. 국내외 금리가 장기 균형점에 도달했다. 균형점에 있는 만큼 현수준의 금리가 상당기간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 금리 인하 기대도 현실성이 없다. 2022년에 중앙은행들은 금리를 올리느라 곤욕을 치렀다. 미국 연준이 가장 심해서 '무능' 과 '판단 미스' 라는 수식어를 달고 다닐 정도였다. 이렇게 어렵게 금리를 인상했는데, 특별..
글로벌 각국 중앙은행 기준금리 및 물가인상율 -2022.10.20. 기준 2022.10.20. 글로벌 중앙은행 금리 변동 업데이트는 두 가지 1. 인도네시아가 세 번째로 금리를 인상, 4.25% → 4.75%로 50bp 인상 https://kita.net/cmmrcInfo/cmmrcNews/cmmrcNews/cmmrcNewsDetail.do?pageIndex=1&nIndex=71125&sSiteid=2 인도네시아, 기준금리 4.75%로 2연속 0.5%P↑... 무역 관련 주요 국내 및 해외 뉴스, 최신 환율 전망 업데이트. www.kita.net 2. 튀르키에(터키)는 인플레이션이 83.5%로 상승하고 통화가 폭락함에도 불구하고, 7번째로 금리를 150bp 폭으로 10.50%로 인하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