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9) 썸네일형 리스트형 코로나19의 진실을 밝힌 머콜라 박사에게 벌어진 일 Dr. Joseph Mercola (이하 조지프 머콜라 박사)는 가정의학과 전문의로서 베스트셀러 작가이자 자연건강 부문에서 세운 공로로 여러 차례 상을 받았다. 또한 독보적인 건강보조식품으로 세상에 유명해진 분이다. 통념에 반대되는 의학정보도 다수 제공해 사람들이 올바른 의학상식을 알게 하는데 공헌했다. 이 머콜라 박사와 유기농전문가 로니 커민스가 공동집필하여 전 세계를 공포에 빠뜨린 코로나 팬데믹의 숨겨진 진실을 밝히는 책을 출간하였다. 한국에도 번역출판 되었다. “설득력 있는 유창한 언변과 강한 카리스마, 깊고 넓은 지식을 가진 비판자가 부패한 시스템을 거침없이 질타하는 책이다.”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 이 책은 미국에서 출간 후 아마존 베스트셀러 종합 1위까지 올랐다. 동료 심사를 거쳐 학술지.. 한국 가계의 100조원 이상의 초과'저축' 2023년 7월 24일 한국은행이 흥미로운 리포트를 발간했다. 팬데믹 이후 초과저축 분석 및 평가 https://www.bok.or.kr/portal/bbs/P0002353/view.do?nttId=10078560&menuNo=200433&pageIndex=1 팬데믹에 의해 소비 행동이 억제된 한편, 정부에 의한 적극적인 가계 지원책이 실시되었기 때문에 가계에 있어서 최근의 수준(트렌드 라인)을 웃도는 저축이 발생했다. 이러한 저축을 「초과저축」이라 정의한다. 다음은 한국은행의 분석 요약이다. 팬데믹 이후 우리나라 가계에 축적된 초과저축 규모는 101~129조원 수준인 것으로 추산된다. 팬데믹 이전(2015~19년) 평균 7.1%를 나타내었던 가계 저축률은 팬데믹 이후(2020~22년) 평균 10.7%로.. 한국의 코로나 미스터리 한국인 치고 현재 코로나 현황에 관심있는 분은 없으리라 생각한다. 하지만, 코로나 및 백신에 대해 국민에 대해 과장-기만한 前정권과 대비해 現정권 역시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 들이 있다. 간략히 요약하면 前 문재인 정권에서는 코로나를 과장하여 민간경제를 약화시키고, 이를 재원없이 과다한 정부재정지출을 통한 매표로 연결했다는 의심을 사고 있다. 現 윤석열 정권에서는 이와는 반대로 민간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코로나 현황을 과소평가한다는 의심이 있다. 참고로 코로나 백신/마스크에 대한 한국어 뉴스와 영어권 뉴스의 사후평가는 그야말로 천양지차다. 세월호 사건때를 상기해보라. 정부의 메가폰에서 나오는 소리를 듣고 이를 믿을지 안 믿을지로 논쟁하는 것이 아니라, 일단 무조건-반복적으로 믿고, 다수라는 이유만으로 .. 미국달러는 더이상 기축통화가 될 수 없다 -레이 달리오(Bridgewater) 세계최대의 헤지펀드 Bridgewater 창업자인 레이 달리오가 CCG와의 인터뷰에서 현재 기축통화인 미국달러의 운명에 대해 말하고 있다. Wang Huiyao & Ray Dalio dialogue on great power cooperation https://www.youtube.com/watch?v=AtnMNPgZU8g 현재 패권국가 미국의 운명 레이 달리오는 코로나 이후 패권국으로서 미국의 입장이 흔들리고 있다고 주장한다. 코로나 제1파에서의 록다운 이후 미국정부가 부채를 발행하여 대량의 현금급여 지급을 선택했을 때부터 그는 대영제국과 네덜란드 해상제국이 왜 몰락했는지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 그리고 그 이유로서 막대한 부채와 지폐인쇄, 그 결과인 통화폭락을 지목한다. 미국이 현금급부라는 명백한 득.. 배당목적 동시매수업종/BBH와 의약품 업종/전쟁을 대체한 코로나 1. 21 12/3 오늘 주포는 '연기금' 크게, 업종을 골고루 매수 외국인과 동시매수는 역시 전기전자 ★배당목적으로 금융/통신/증권 매수 외국인은 주로 장단기'국채선물'을 매수 즉, 내년1월에 금리'인상' 없다에 베팅 ...현정권이 자신의 임기중에 이를 모면할수 있을까? 2. BBH와 의약품 업종 오늘새벽 NY장에서 바이오텍 BBH가 지지선까지 하락 오늘 한국증시에서 의약품업종은 외국인+기관 동시순매도 반면, '금융'업은 동시순매수→상승 ...오미크론 장세는 끝났나? 3. 코로나와 그 변종은 글로벌리즘을 종결하고 내셔널리즘을 개시하는 수단으로, 과거에는 '전쟁'이 주요수단이었다. 금융시장은 이를 정확히 반영하여 과잉'유동성'에만 반응하고 있다. NY 금융시장 논점과 요약 (+1 USD 반전시그널 ) 2020년 10월 16일 논점 세계증시, 코로나 재확산->재봉쇄에 하락 KST 21:30 美신규 실업수당 신청건수 미국 신규 실업수당 청구 89만8000건…8월 말 이후 최다 美 FRB 인사 발언 KST 01:00 EU ECB총재 라가르드 발언 글로벌에 추가부양책 한계 속 코로나 2차 팬데믹 공포 현실화 EU, 미국은 물론 중국도 확진자 추가발생. 일본도 다시 급증 →이 와중에 韓은 백신도 치료제도 없는 상황에서 규제완화/등교 정상화 그 타이밍은 北이 탄도미사일 시현 전후! 바이든 캠프서 코로나19 확진자 2명 발생…해리스 대면 일정 중단 노딜 브렉시트 시 크레딧스프레드 확대 유의 영국과 EU 간의 협상시한인 EU정상회의(★10월 15~16일)가 다가온 가운데 영국이 EU 탈퇴 협정과 상충되는 국내시장법.. 아시아 금융시장 논점 및 요약 (+1 외국인.기관 동시매매 업종) 2020년 10월 15일 논점 김용범 차관 "가계대출 불안요인 지속시 필요한 조치 강구" "신용대출 비롯 가계대출 추이 모니터링" "원달러 환율 급증…외환수급 상황 점검" →대출과 환율 모두 '금리'와 관련이 있다. ★이글을 읽으시는 분들 중 '투자를 하시는'분들은 '정부행정실무자'를 파악하여, 그들의 동향을 파악하면 큰 도움이 됩니다. 확대재정과 통화완화 공존..연말로 갈수록 채권발행 관련 리스크 고조 연말-연초 글로벌 금리 상승압력 확인될것 조해진 의원 "가계통계, 시계열 단절 등으로 비교분석 못하게 만들어 통계왜곡 우려" 국내 주식형 펀드 5일 연속 자금 유출 요약 동아시아 증시는 '코로나 재확산'순! 中 > 日 > 韓 코스닥, 장중 3% 이상 급락…830대 "욕심이 과했나"…빅히트 '따상'은 커녕.. 美대통령 트럼프의 코로나 확진이 미칠 영향 [목차] Ⅰ. KST 10/2 13:54 트윗 Ⅱ. 배경상황 1. 위험 2. 시간이 없다 3. 트럼프에게 중요한 것: Stimulus Bill 4. 철수 가능성 5. 불리할 땐 타임아웃 Ⅲ. 금융시장 반응 Ⅳ. Tail Risk Ⅴ. 한국 Ⅵ. 후기 ============================================ Ⅰ. KST 10/2 13:54 트윗 옥토버 서프라이즈가 쇼크로! twitter.com/realDonaldTrump/status/1311892190680014849 Donald J. Trump on Twitter “Tonight, @FLOTUS and I tested positive for COVID-19. We will begin our quarantine and recover.. Trendy FinTwits (6/6 Updated) - '현재' 영어 권역과 일본어 권역 금융시장에서 유명한 트윗이나 의견들 - 시장참가자들의 뛰어나고 독특한 의견의 '최신' 핀트윗을 지속적으로 소개합니다. https://twitter.com/KritiGuptaNews/status/1266079848197431299 Kriti Gupta on Twitter “Inverse correlation between stocks and dollar strengthening over the last 2 months. Relationship now at its strongest since August of last year🧐” twitter.com 트럼프가 기를 쓰고 USD를 낮추는 이유 -> 주가 상승 https://twitter.com/jsblokland/stat..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