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태그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한국은행

(8)
미국과 한국의 금리 전망 =======[목차]====== Ⅰ. 미국 Ⅱ. 한국 Ⅲ. 질병 X (Disease X) ================= Ⅰ. 미국 Fed Minutes Show Unease Over Premature Cuts 연준 회의록, 조기 금리 인하에 대한 불안감 드러내 Only two officials highlighted the risks of keeping rates too high for too long at last month’s policy meeting 지난달 정책회의에서 금리를 너무 오랫동안, 너무 높게 유지하는 것의 위험을 강조한 멤버는 두 명뿐 -WSJ 2024. 02. 21. 2월 21일 미국 연방준비제도 FED가 공개한 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 따르면 위원들은 대체로 인플레..
정부 vs. 한국은행 ...한미금리차 2% 2023년 올해 대상 기준금리는 미국은 4.5% → 5.5%, 1%를 인상한 반면, 한국은 3.5%에서 동결된 상태로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 차이는 2%에 육박 역대 최대차이를 보이고 있다. 1. 정부는 또다시 대출 규제 완화에 나섰다 부동산 시장의 버블 붕괴로 인한 경착륙은 반드시 막아야 한다는 강한 의지의 표명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5월, 추경호 경제부총리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 김주현 금융위원장 등에게서 부동산 시장 상황 보고를 받고 "연착륙 방안을 강구해달라"고 주문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마디로 역전세난 우려 때문이다. 서울 아파트 중위 전셋값은 지난 2021년 9월에 최고가를 찍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2년 사이 전셋값이 크게 떨어져 집주인이 세입자에게 돈을 ..
한국 가계의 100조원 이상의 초과'저축' 2023년 7월 24일 한국은행이 흥미로운 리포트를 발간했다. 팬데믹 이후 초과저축 분석 및 평가 https://www.bok.or.kr/portal/bbs/P0002353/view.do?nttId=10078560&menuNo=200433&pageIndex=1 팬데믹에 의해 소비 행동이 억제된 한편, 정부에 의한 적극적인 가계 지원책이 실시되었기 때문에 가계에 있어서 최근의 수준(트렌드 라인)을 웃도는 저축이 발생했다. 이러한 저축을 「초과저축」이라 정의한다. 다음은 한국은행의 분석 요약이다. 팬데믹 이후 우리나라 가계에 축적된 초과저축 규모는 101~129조원 수준인 것으로 추산된다. 팬데믹 이전(2015~19년) 평균 7.1%를 나타내었던 가계 저축률은 팬데믹 이후(2020~22년) 평균 10.7%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의 경고 [목차] Ⅰ. 5월 한국은행 금통위 결과 및 韓美 금리차 Ⅱ.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의 경고 Ⅲ. 금리결정 직후 시장 반응 Ⅰ. 5월 한국은행 금통위 결과 및 韓美 금리차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5월25일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기준금리는 현재의 연 3.5%에서 동결된 상태다. 지난 2월, 4월에 이어 3회 연속 동결이다. 미국과의 기준금리와의 차이는 역대 최대폭인 1.75%포인트를 유지하게 됐다. 금리 동결의 이유로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4개월 만에 3%대로 떨어졌고, 무역적자가 계속돼 경기 침체 우려가 고조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기재부도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5월호에서 “우리 경제는 내수는 완만한 회복세가 이어지고 있으나 제조업 중심의 경기둔화가 지속되고 있다” 고 밝힌..
한국은행의 부동산 경기 전망(2023년) https://www.bok.or.kr/viewer/skin/doc.html?fn=202303091148310090.pdf&rs=/webview/result/B0000156/202303 3월 9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이 개최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 설명회에서 한국은행은 올해 주택가격의 하락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해부터 본격화된 집값 조정 국면이 올해에도 이어질 것이란 분석이다. "높아진 금리수준, 주택가격 하락 기대, 주택경기 순환 주기 등을 고려할 때 올해 주택가격은 추가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주택가격 기대심리의 높은 지속성을 고려할 때 향후 하락기대 심리가 상당기간 이어지면서 주택가격 하방요인으로 작용할 것" 최근 매매가, 전세가의 동반 하락도 주택경기 둔화와 디레버리징 심화요인..
2023년  주요국 정책금리 발표 및 한국은행 금통위 개최 스케쥴 미국 FRB(Federal Reserve Bank)의 "FOMC 회의"로 대변되는 각국 중앙은행의 금리 등 금융정책 결정회의는 주식 및 외환 등 금융자산 가격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주가는 미국이 주도하는 경향이 있지만, 각국 중앙은행의 금리결정에 따라 환율페어가 변동, FX트레이더에게는 주요국의 금융정책 변동 모두가 중요하다. 주요국의 금리 변동은 금융자산의 가격변곡점이 될 가능성이 있다. 표 안의 숫자는 월에 해당하는 일자로서, 한국시간 기준으로 환산하였다. 다음은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회의 일정이다. 통화정책방향결정회의는 1월, 2월, 4월, 5월, 7월, 8월, 10월 및 1월 모두 8회이고, 금융안정회의는 3월, 6월, 9월 및 12월 모두 4회로 예정되어 있다.
해외IB의 한국 성장률 전망 ... 암울 BOA 미국식[ˈboʊə] Eng BOA Bank of America, born on arrival(산부인과 도착시 출산). boa 미국식[ˈboʊə] 영국식[ˈbəʊə] (=boa constrictor) (=feather boa) feather boa (여성용으로 가늘고 길게 만든) 깃털 목도리 boa constrictor 미국식[ˈboʊə] 영국식[ˈbəʊə kənstrɪktə(r)] 보아뱀(남미산 대형 뱀. 동물을 칭칭 감아 으스러뜨려 죽여 먹이로 삼음) B.O.A. British Optical Association 영국광학협회. 오픈 BoA 계정 내 바인딩(묶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른 플레이어와 어떤 아이템을 주고받을수는 없지만 같은 서버 내의 다른 캐릭터들에게는 아이템을 보낼 수 있다는..
BlackRock과 Vanguard의 '2022년 전망' 비교요약 예년과는 달리 올해 년말 주요언론에 나오는 내년 22년 전망은 그리 밝지 못하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1122315180210204 "상상만 해도 무섭다"…2022년 글로벌 증시 최악 시나리오 - 머니투데이 3대 위험요소는 '인플레이션·바이러스·전쟁'…물가 무섭게 뛰는데 코로나 변이 또 나온다면? 중국-대만과 러시아-우크라, 침공 가능성도경제 전문가들은 내년 글로벌 증... news.mt.co.kr 이에 블랙록과 뱅가드의 내년 전망을 비교해 보고자 한다. 다소 긴 내용이므로 원본을 링크하고, 본 글에서는 중요내용을 도표를 중심으로 축약 비교하는 형식을 취했다. [목차] Ⅰ. BlackRock 2022 Global outlook Ⅱ. Vanguard 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