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경우
2006년 이후 처음으로
5년과 30년 만기 국채금리가 역전되면서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https://www.hankyung.com/opinion/article/2022032737101
이는
장기에 경기침체 예상으로
금리가 상대적으로 낮아진 반면,
단기에 고물가로
금리가 상승하는 경우에 나타난다.
2022년 3월 30일 기준
만기별 한국 국채수익률은
다음과 같다.
★30년물 2.74%
★20년물 2.88%
★10년물 2.88%
05년물 2.80%
03년물 2.62%
01년물 1.79%
전기료상승·기대인플레
…채권시장 "인플레, 끝이 안 보인다"
-연합(22.03.30)
한은
"4월 금통위 간담회 의장 공석시
주상영 위원이 주재"
190㎝ 장신 이창용은
한국의 폴 볼커가 될까
-서울경제(22.03.30)
그간 발언으론 매·비둘기 판단 불가
통화정책 환경은 금리 인상 불가피
201㎝ 볼커처럼 인플레 잡을지 주목
연준의 돌변에…
연내 3번으로 옮겨간
韓기준금리 인상 전망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06065
시장참가자들은
올해 4~5월 중
한차례의 기준금리 인상과
하반기 두 차례 등
총 세 차례의 기준금리 인상을
전망하고 있다.
시장금리가
이미 통화정책으로 설명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 급등했기 때문
아래 차트는
국고채 3년물 금리 주봉차트다.
현대통령 취임 2017년 5월 대비
현재 크게 상승한 상태다.
'금융시장 > 한국 금융시장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준금리 예상 -미국 및 한국 9월말 기준 (0) | 2022.09.11 |
---|---|
예금 이자 높은 은행을 비교할 수 있는 3가지 사이트 (0) | 2022.04.29 |
2022년 미국 금리 인상시 한국경제에 대한 영향 (1) | 2022.03.21 |
정권 말기용 '선진국' 한국의 실상 (0) | 2022.03.03 |
중국 지준율 인하로 리스크온/업종 매수/수급 매수 (0) | 2021.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