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Ⅰ. expat 란?
Ⅱ. Quality of Life 생활의 질
Ⅲ. Ease of Settling In 정착 용이성
Ⅳ. Working Abroad 해외 근무
Ⅴ. Personal Finance 개인 금융
Ⅵ. Expat Essentials 해외거주 필수조건
Ⅶ. 2022년 최고와 최악의 장소
Ⅷ. 특징국 27개
===============================
Ⅰ. expat 란?
expatriate(주로 expat로 사용한다) 는
고국이 아닌 해외에 거주하는 자를 이른다.
InterNations.org에서는
해외거주자 관점에서 거주희망국가에 대해
세분화된 분야별로 평가하여
다년간 축적된 랭킹을 알려준다.
다음은 2022년판 풀버젼의 링크이다.
https://cms-internationsgmbh.netdna-ssl.com/cdn/file/cms-media/public/2022-07/Expat-Insider-2022-Survey.pdf
평가기준은 크게 5가지로
각각 해당되는 세부기준들이 있다.
Ⅱ. Quality of Life 삶의 질
Quality of Life 삶의 질 은
레저 선택 / 여행 및 교통 / 건강-웰빙
/ 안전 및 보안 / 환경 및 기후
의 세부주제로 평가한다.
스페인.포루투갈, 대만이 최상위이고,
쿠웨이트, 인도, 필리핀이 최하위다.
베트남은 여행 및 교통 / 건강-웰빙
/ 환경 및 기후 분야에서 최하위권이다.
한국은 여행 및 교통 부문에서 4위,
건강-웰빙 부문에서 2위,
종합 9위로 이 분야 상위권을 기록했다.
Ⅲ. Ease of Settling In 정착 용이성
Ease of Settling In 정착 용이성은
문화 및 환대 / 현지 우호도 / 친구찾기
의 세부주제로 평가한다.
1위는 모두 멕시코, 2위는 모두 인도네시아다.
하위는 주로 배타적인 EU 주요국들이다.
이와 맞먹는 낮은 순위의 아시아 국가가
한국과 일본이다.
우호적이기로 유명한 대만은 물론,
러시아, 터키, 인도, 중국조차도
한국보다 훨씬 상위다.
Ⅳ. Working Abroad 해외 근무
Working Abroad 해외 근무는
직업 전망 / 일과 레저 /
보수 및 고용 보장 / 일의 문화와 만족도
의 세부주제로 평가한다.
상위권은 주로 EU국 들이고,
하위국에는 일본, 홍콩, 태국 등 아시아
이탈리아, 그리스 등 남유럽국이
포함된다.
한국은 이 분야에서 하위권이다.
일과 레저의 균형 34위
특히, 일 만족도에서 47위로 최하위권이다.
Ⅴ. Personal Finance 개인 금융
Personal Finance 개인 금융은
생활비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이에 대해 베트남은
심지어 세계평균보다 3배 이상
긍정적인 평가를 얻었다.
상위는 대부분 아시아 국가들이다.
단, 홍콩만 제외다.
하위는 주로 EU국가로,
꼴찌는 고물가로 악명높은 뉴질랜드다.
한국은 35위로, 그 다음이 터키다.
랭킹에 의하면
중국과 일본은 한국보다 생활비가 싸다.
한국은 제조국가로서
세계유수의 카메이커와 건설사를
보유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파트와 자동차의 가격은
과도하게 비싸다.
이는 경제현실에 맞지 않는 저금리와
가계대출을 세계1위 수준까지
조장한 결과다.
그 결과 치솟는 물가 속에서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있다.
금리 정상화를 통한 물가-생활비 하락은
서민에게 가장 큰 혜택을 줄 것이다.
Ⅵ. Expat Essentials 해외거주 필수요건
Expat Essentials 해외거주 필수요건 은
디지털 생활 / 행정 편리 / 주택 / 언어
의 세부주제로 평가한다.
바레인이 언어 및 행정 편리 면에서
최고평가를 받았다.
UAE 등 쿠웨이트를 제외한 모든 걸프국이
상위 10위안에 들고 있다.
반대로 중국,일본, 그리고 유럽국 들은
하위에 위치해 있다.
한국은 디지털 생활에서 16위이지만,
전반적으로 순위가 떨어진다.
외국인은 지정학적으로
한국과 대만을 비교하기도 하는데
이 부분에서 한국은 모두 열세다.
행정 편리 면에서
한국은 러시아보다 못하다.
공무원 수를 감안하면 더 떨어질 것이다.
주택 면에서 한국은 39위로
이 사이트의 권위를 감안하면,
외국인은 한국 주택의 필요성을
크게 느끼지 못하는 것 같다.
Ⅶ. 2022년 최고와 최악의 장소
1. 종합적으로 멕시코가 1위다.
2. 인도네시아 내의 국외거주자들은
주택문제와 관련하여 거의 어려움이 없다.
3. 대만은 의료서비스와 치안 분야에서 최상위다.
4. 종합적으로 하위권에서는
홍콩, 뉴질랜드는 높은 생활비 부담에서,
쿠웨이트는 우호도와 기후 면에서
낮은 평가를 받았다.
5. 한국은
종합순위 52개국 중 40위를 차지했다.
지난해에는 59개국 중 47위였는데,
평가대상국이 줄면서
올해는 순위가 다소 올랐다.
Ⅷ. 특징국 27개
"2022년판 풀버젼" 본문의 46페이지부터는
관심가는 특징국 27개를 분석해 놓았다.
한국 내에서는 놓치기 쉬운
특징국들에 대해 직관적인 설명과 함께
3 페이지씩 할애하고 있다.
한국에 대한 별도의 페이지는 없다.
'지금 세상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로벌 각국 중앙은행 기준금리 및 물가인상율 -2022.10.20. 기준 (0) | 2022.10.22 |
---|---|
래리 서머스- 세계화가 러시아와 중국에 의해 공격받고 있다. (0) | 2022.09.06 |
한국 유가 급등, 같은 원유수입국인 일본과 비교하면? (0) | 2022.03.31 |
오스카 수상식의 이면 (0) | 2022.03.30 |
이런 차는 '차량 절도'에 주의하세요. (0) | 2022.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