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Ⅰ. 2023년 리세션 확률 국가별 순위
Ⅱ. 국가별 정책금리 및 실질금리 현황
Ⅲ. 2023년 5월 FOMC 금리 인상 예상
Ⅳ. 2023년말의 금리 예상
Ⅴ. 5월에 주가상승 예상 섹터(Seasonality 계절성)
======================================
Ⅰ. 2023년 리세션 확률 국가별 순위
다음은 2023년 4월 기준으로
Bloomberg가 집계한 자료입니다.
미국의 대리전쟁과 파이브아이즈 동맹의 지지국 들이
경제 리세션에 빠질 가능성이 가장 높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많은 제재를 받는 국가인 러시아는
중간 정도의 하락 가능성이 있습니다.
한국과 일본도 러시아와 비슷한 수준입니다.
BRICS 및 다극화 동맹국 들은 번창하고 있습니다.
Ⅱ. 국가별 정책금리 및 실질금리 현황
명목 정책금리보다 실질금리가 중요합니다.
Charlie Bilello에 따르면
중국-홍콩, 러시아가 금리를 인하한 것은
언론에서 호도하듯이 경기침체 때문 보다는
이미 실질금리가 높기 때문입니다.
각국 중앙은행의 금리 및 통화정책에 의하면
한국의 중앙은행은 선방하고 있다고 보여집니다.
Ⅲ. 2023년 5월 FOMC 금리 인상 예상
미국은 5월 FOMC에서 금리 인상이 예상됩니다.
현실은.
FRB가 서민들의 인플레 고충을 걱정하기 보다는
금리 상승에 따라 글로벌에서 미국 국채를 매도해
미국 국채수익률이 상승하기 때문입니다.
Ⅳ. 2023년말의 금리 예상
FedWatch 자료에 따르면
2023년말 기준 425~450 bps로,
이번 5월 추정 500~525 bps에서
0.75%만큼 인하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번 5월 FOMC에서 금리 인상을 마지막으로,
이후 내년초까지 계속 인하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리세션이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Ⅴ. 5월에 주가상승 예상 섹터(Seasonality 계절성)
Seasonality(계절성) 통계에 따르면
매 5월에는 S&P500 기준
헬스케어 및 필수소비재의 상승율이 두드러 집니다.
'지금 세상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국가별 부채 비교(가계부채 포함) (0) | 2023.06.01 |
---|---|
올해 엘리뇨의 여름에 폭등할 농산품은? (0) | 2023.05.24 |
5월 황금연휴의 韓-中-日 휴일 비교 (0) | 2023.05.02 |
역사는 그대로 반복되지 않지만, 그 흐름은 반복된다 -마크 트웨인 (0) | 2023.04.25 |
글로벌 각국 중앙은행 기준금리 및 물가인상율 -2022.10.20. 기준 (0) | 2022.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