딱 2가지 '선'으로 환율 전환점을 예측해보자
본문 바로가기

지금 세상은

딱 2가지 '선'으로 환율 전환점을 예측해보자

이 말에는 함정이 있다.

바로 'FX'에 대해서만 그렇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국가.정부 입장에서는

주식보다는 채권,

채권보다 외환이

더 중요할 수 있다.

특히 이머징 시장에서는 말이다.

 

대외 '환율'이

일정한 지지선-저항선 간

레인지 내에서의 움직임이 아니라면

그 국가는 큰 곤경에 빠지게 된다.

 

주식, 상품 등은

반드시 이런식으로 예측하기는 어렵다.

 

 

1.  2가지 준비사항

    1-1 거래량

    1-2 기간

2.  2가지 선

3.  분석의 예  2가지

    3-1 개별통화의 기간 분석

    3-2 기간 내 통화간 비교분석

4.  마치는 글

==================================

 

1.  2가지 준비사항

이것은 분석의 준비사항으로서

환율 이외에도 널리 사용된다.

 

1-1 거래량

 

우리는

여러 차트에서

종합지수 composite index를 보는 경우도 있고,

실제 거래되는 금융상품을 보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KOSPI200
KODEX레버리지

 

거래량은

전환점에 대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곤 한다.

 

우리는

위 두 가지 중 어느 차트로

거래량을 분석해야 하는가?

 

매매란

나 홀로 생각-분석으로 수익을 올릴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시장 참여자 누군가의 호주머니에서 돈을 가져오는 행위다.

반드시 상대방이 있다.

 

바로 그런 이유로

나 홀로 실력을 쌓는다는 것은 소용이 없다.

 

농구에서

혼자 하는 슛 연습과

블로킹하는 상대가 있는 게임을 통해 실습하는 것,

어느 것이 더 잘 할 수 있을까?

 

마찬가지로

해외 트레이더들은

S&P500를 분석하기보다는,

SPY나 $SPX를 분석한다.

거래량을 보기 위해서다.

 

해외 무역통화 ETF다.

해외 무역통화 ETF

 

한국의 경우

ETF로 개발되어 있다.

개발은 잘 되어 있는데,

사용자가 없는 듯하다.

https://finance.naver.com/sise/etf.nhn

 

네이버 금융

국내 해외 증시 지수, 시장지표, 펀드, 뉴스, 증권사 리서치 등 제공

finance.naver.com

 

거래량이 충분한 통화는

역시 USD다.

 

KODEX 미국달러선물레버리지 (261250)와

KODEX 미국달러선물인버스2X (261260)가 대표적이다.

 

 

1-2 기간

 

이 글을 보시는 분들 중에

해외선물 하시는 분들이 계실 것이다.

 

내가 보기에

이분들은 실력에 비해서

한국의 환경이 안 따라주는 것이 문제다.

 

일본만 해도 FX매매가 잘 발달되어 있다.

(정부가 JPY 유통을 국민들에게 강력히 권하기 때문에 - -;;)

스마트폰용 전용 앱은 아주 많다.

분석 툴도 훌륭하다.

간편하다.

빠르고 정확한 정보를 볼 수 있다.

 

하지만 그걸로도 돈을 못 번다.

상대는 AI.

오토봇으로는 게임이 안 되지.

 

그 실력이시면 기간을 확장해서

중-장기 ETF 매매로 가시라!

최소 일봉 이상이면 마음도 편하다.

그 실력이면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돈에 너무 조급하지 마시길.

 

※ 만일 전문적으로 FX를 접하고 싶다면

내 트위터 팔로워 중

@sakamotoinvest 님께 문의하시길 바란다.

이 분은 실무자다.

 

 

2.  2가지 선

 

첫째는,

봉:캔들의 꼬리 다.

 

윗꼬리는 저항을 나타낸다.

아래꼬리는 지지를 나타낸다.

 

FX의 경우

일정 라인에서 나타나는 경우가 많이 있다.

 

둘째는,

지지선-저항선 이다.

 

FX의 경우

이동평균선보다

직선인 지지-저항선을 많이 사용한다.

 

참고로

중장기 분석에는 피보나치도 사용한다.

다만, 피보나치는

FX 전용이라기보다는

모두에 적용시켜서 쓰니까

여기서 다루지는 않는다.

 

 

3.  분석의 예  2가지

 

3-1 개별통화의 기간 분석

 

분석대상 기간은

분, 일, 주 ,월 모두 해당될 수 있다.

 

UUP의 예이다.

아래 꼬리와 지지선의 결합이다.

UUP

 

韓의 USD 선물 인버스X2 ETF의 예이다.

위 꼬리와 저항선의 결합이다.

USD 인버스X2  261260

 

참고로

FX의 경우에는

韓 외화 ETF를 매매하기 '전'에

위에서 소개한 해외의 통화 EFT를

먼저 확인하시길 바란다.

 

韓은 메이저 통화를 '전환'시켜 사용하기 때문이다.

 

 

3-2 기간 내 통화간 비교분석

 

이번 6월에 들어

주요 통화간 추세전환의 힌트가 있었다.

 

내용을 이해하면 쉽게 보인다.

 

FXE
UUP
FXY

 

 

★ 중요한 Tip이 있다.

韓의 외화 ETF에는

해외 ETF보다  '꼬리'가 별로 없다.

 

왜... 꼬리가 없을까?

지금까지 적어놓은 것은

한국에서는 쓸모없는 것인가?

 

그 이유는

거래와 거래량이 없어

제때에 반응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시차가 존재해서

중장기 추세를 확실히 알면

빠르게 매매전환을 할 필요가 없다는 의미다.

 

증권사는 호가 범위를 넓게 벌여서

개인투자자가 단기 이익 얻는 것을 막는다.

 

하지만

중장기 추세를 확실히 안다면

반대로  기관이 빨리 대응하지 못하는 관계로

느긋하게 이익을 가져갈 수 있다.

 

물론 '추세를 안다면'이 전제다.

 

 

4. 마치는 글

 

나는

투자에서 글로벌매크로 방식을 추종한다.

이는 여러 자산군을 분석하고,

그 연관성을 파악하여

위험을 최소화하려는 방식이다.

 

수익보다는

어떤 상황에서도 위험 최소화에 초점을 둔다.

 

만일 투자를

장기적으로,

주 수입원으로

하고 싶은 분들은

고려해볼 만하다.

 

자신의 성향에 대해서 아는 것이 중요하다.

 

난 철저하게 계산하는 위험회피형이다.

(난 전에 수학을 가르쳤다.)

 

참고로

USD나 WTI 등 매매대상은

누군가 선취매 해놓고

사기칠 수 있는 대상이 아니다.

 

 

이 글은

FX를 처음 접하는 분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작성했다.

 

다음 글에서는

평소 FX에 관심을 가지고 있던 분들을

대상으로 써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