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태그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금리

(14)
"반복될 미래의 금융시장"에서 피해야할 것 -네피어 러셀 내피어는 세계적인 금융시장 전략가이자 금융역사가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전 발간한, 미국증시 역사 속 네 번의 침체장을 월스트리트저널(WSJ) 기사 7만 건과 당시 시장의 각종 데이터를 통해 분석한 명저 '베어마켓'으로 유명하다. 그는 Skagen Funds 주최 강연회에서 지금부터의 '금리 상승' 시대의 자산운용에 대해 이렇게 설명한다. 세계경제는 코로나 발병 "전: 저금리·저인플레" 경제에서 코로나 "후: 고금리·고인플레" 경제로 전환했다. 드러켄밀러, 폴 튜더 존스, 건들락 등 유명 투자자들은 지금의 인플레이션 상승이 끝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사람들은 어느 환경에 오래 있으면, 빠르게 적응한 후 이젠 그것을 당연하게 받아들인다. 금융시장에서 이러한 사고방식은 매우 위험하다. ..
미국대선 이후 '금리와 주가' 예상 -스탠리 드러켄밀러 조지 소로스와 함께 전설적인 '퀀텀펀드'를 운용한 것으로 유명한 스탠리 드러켄밀러가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오는 11월 5일 미국 대통령선거 이후 금융시장에 대한 예상을 설명했다. 미국은 60번째 미국 대통령 선거(United States presidential election)가 2024년 11월 5일에 개최된다. 지금까지 미국경제는 완만한 경기 상승이 이어지면서, 이에 따라 금리와 주가가 상승해 왔다. 투자자의 관심사는 미국 대선 이후 금융시장이 어떻게 변하는가 하는 것이다. 미국 대선에서는 대통령이 선출됨과 동시에, 미국 상원과 하원을 장악하는 정당 모두가 결정된다. 즉 대통령과 의회, 각각 공화당과 민주당 누가 이길지 4가지 시나리오 조합을 생각할 수 있는데, 현재로서는 공화당이 "대통령과 상원-..
미국과 한국의 금리 전망 =======[목차]====== Ⅰ. 미국 Ⅱ. 한국 Ⅲ. 질병 X (Disease X) ================= Ⅰ. 미국 Fed Minutes Show Unease Over Premature Cuts 연준 회의록, 조기 금리 인하에 대한 불안감 드러내 Only two officials highlighted the risks of keeping rates too high for too long at last month’s policy meeting 지난달 정책회의에서 금리를 너무 오랫동안, 너무 높게 유지하는 것의 위험을 강조한 멤버는 두 명뿐 -WSJ 2024. 02. 21. 2월 21일 미국 연방준비제도 FED가 공개한 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 따르면 위원들은 대체로 인플레..
미국주식은 매도, 제로리스크 단기 금리는 미국주식 배당금의 2배이상 수익 -J 건들락 다음은 제프리 건들락(DoubleLine Capital CEO)의 CNBC와의 인터뷰 내용이다. Regional banking crisis won’t end unless the Fed cuts interest rates, Jeffrey Gundlach says -2023.05.03 https://www.cnbc.com/2023/05/03/regional-bank-crisis-will-end-when-the-fed-cuts-rates-gundlach-says-.html ========================== [목차] Ⅰ. 건들락의 금리와 위험자산 전망 Ⅱ. 자산간 자금 쟁탈전 Ⅲ. S&P500 예상 Ⅳ. 결어 ========================== Ⅰ. 건들락의 금리와 위험자산 전망 20..
금 vs. 농산물, 1970년대 장기 인플레 시대에는 어느 것이 더 올랐을까? [목차] Ⅰ. 인플레이션이 장기 추세인 시대 Ⅱ. 1970년대 원자재 시세 Ⅲ. 금 시세 Ⅳ. 농산물 시세 Ⅴ. 결론 현재 인플레이션이 화두로 떠오르면서 시장참가자는 금.은, 옥수수.밀 등 금융시장에서 거래되는 원자재 종목을 금융 완화시 인플레이션 헷지를 위해 매수하고, 금융 긴축시 하락을 예상하여 매도한다. 하지만 인플레이션이 장기화된다면 원자재의 시세 '상승'은 장기적인 추세가 된다. 이 때 각 종목은 어떻게 움직일까? 어떤 상품을 사면 좋을까? Ⅰ. 인플레이션이 장기 추세인 시대 미국에서 인플레이션이 장기화된 때가 1970년대였고, 그때 인플레이션은 한 번만 온 것이 아니었다. 인플레이션은 세 차례에 걸쳐 세계경제를 강타했다. 아래는 당시 미국의 인플레이션율 및 정책금리 차트이다. 중앙은행이 완화하..
과거 40년간 상승시세를 전제로 미래 투자를 해서는 안 된다 -제프리 건들락 DoubleLine Capital의 제프리 건들락이 Yahoo! Finance에서 한 인터뷰 내용의 요약이다. 지난 수십년의 시세를 이끌어온 금융완화가 인플레이션 발생에 따라 종료될 때 자산가격이 어떻게 될까? [목차] 40년 지속된 저금리시세 40년간 계속 상승한 미국주 결론 40년 지속된 저금리시세 2022년 인류가 인플레이션에 대해 떠들기 시작할 때까지 선진국의 금리는 계속 내려오고 있었다. 정확하게 말하면, 금리 천장은 1980년이었다. 미국은 1970년대 물가상승을 금리 상승으로써 극복한 뒤 20%까지 상승한 정책금리를 40년간에 걸쳐 저하시켜 왔다. 미국의 정책금리를 장기적으로 보면 다음과 같다. 다음은 건들락의 코멘트다. "2022년까지 지난 40년간 장기적으로 보면 금리는 오로지 계속 ​​..
2023년  주요국 정책금리 발표 및 한국은행 금통위 개최 스케쥴 미국 FRB(Federal Reserve Bank)의 "FOMC 회의"로 대변되는 각국 중앙은행의 금리 등 금융정책 결정회의는 주식 및 외환 등 금융자산 가격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주가는 미국이 주도하는 경향이 있지만, 각국 중앙은행의 금리결정에 따라 환율페어가 변동, FX트레이더에게는 주요국의 금융정책 변동 모두가 중요하다. 주요국의 금리 변동은 금융자산의 가격변곡점이 될 가능성이 있다. 표 안의 숫자는 월에 해당하는 일자로서, 한국시간 기준으로 환산하였다. 다음은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회의 일정이다. 통화정책방향결정회의는 1월, 2월, 4월, 5월, 7월, 8월, 10월 및 1월 모두 8회이고, 금융안정회의는 3월, 6월, 9월 및 12월 모두 4회로 예정되어 있다.
이종우(전 IBK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 님의 '금리' 예측 '금리가 상당기간 현재 수준을 유지한다' 미국의 시장금리가 3.5~4.0% 사이에 머물고 있다. 지난 20년간 미국 10년물 국채 수익률 평균은 3.4%로 지금 금리 수준 정도다. 1900년 이후 120년간 미국의 금리가 지금보다 낮았던 때는 전체기간의 3분의 1밖에 되지 않는다. 나머지는 지금보다 금리가 높았는데, 이런 사실을 감안하면 지금 금리가 높은 상태가 아니라고 볼 수 있다. 국내외 금리가 장기 균형점에 도달했다. 균형점에 있는 만큼 현수준의 금리가 상당기간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 금리 인하 기대도 현실성이 없다. 2022년에 중앙은행들은 금리를 올리느라 곤욕을 치렀다. 미국 연준이 가장 심해서 '무능' 과 '판단 미스' 라는 수식어를 달고 다닐 정도였다. 이렇게 어렵게 금리를 인상했는데, 특별..
J 건들락의 금리 예상 -2022년 10월 20일 기준 현재 10년물 및 30년물 국채수익율은 4.13%로 동일 국채수익율은 아마 지금부터 년말 사이에서 정점을 맞이할 것이다.
미국 및 한국 주가지수 분석(1) [목차] 1. 미국 주가 2. 한국 주가 3. 주의사항 4. 추가 고려사항 =========== 다음은 내 트윗 중 일부다. https://twitter.com/krronem 현재까지는 위 트윗의 내용대로 흘러왔다. 향후 흐름에 변동가능성이 있어 이를 기록해 놓고자 한다. 1. 미국 주가 S&P500 ETF인 SPY는 일봉 200MA 위에 위치 피보나치 61.8%까지 상승(아랫꼬리) 다우존스 산업평균 ETF인 DIA는 일봉 200MA를 상향돌파 피보나치 61.8%로 접근중 나스닥100 ETF인 QQQ는 일봉 200MA 아래에 위치 피보나치 50.0%로 접근중 러셀2000 ETF인 IWM은 일봉 200MA 아래에 위치 피보나치 38.2% 아래에 위치 참고로, '신고가종목수-신저가종목수'는 다음과 같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