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역전 (3) 썸네일형 리스트형 2023년 6월 FOMC 결과 미국 및 한국의 기준금리 분석-전망 [ 목 차 ] Ⅰ. 2023년 6월 FOMC 결과 Ⅱ. 미국 및 한국의 기준금리와 금리차 Ⅲ. 한국의 현 상황 분석 Ⅳ. 한국은행의 대응 Ⅴ. 향후 전망 Ⅰ. 2023년 6월 FOMC 결과 미국은 10회 연속 금리인상 뒤 6월14일 FOMC에서 금리를 동결했다. 다만, 연내 0.5% 추가인상 가능성을 시사했다. 파월 연준 의장은 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인플레이션 압력이 계속 높은 상태"라며, "거의 모든 (FOMC) 위원들이 올해 중 추가 금리 인상이 적절할 것 같다는 견해를 보였다"고 전했다. Ⅱ. 미국 및 한국의 기준금리와 금리차 미국이 기준금리 5.00~5.25%로 유지함에 따라 현재 기준금리가 3.5%인 한국과 비교해, 한미 금리차는 '1.75% 포인트'로 역전 상태다. Ⅲ. 한국의 현 상황 분석.. 2023년 대비 한국 금융위기 징후 5가지 [목차] Ⅰ. 한국은행이 경고하는 한국금융시스템의 위험 Ⅱ. 신용평가사 피치의 경고 Ⅲ. 수익률곡선의 플랫화 Ⅳ. 국가부채 1000조 돌파 Ⅴ. 부동산 거래금액이 100조 감소 =============================== Ⅰ. 한국은행이 경고하는 한국금융시스템의 위험 2022년 12월 22일 한국은행은 금융안정보고서를 공개했다. http://www.bok.or.kr/portal/bbs/P0000559/view.do?nttId=10074514&menuNo=200690 한국은행의 독자적으로 산출하는 지표로서 문자 그대로 한국의 금융시스템의 안정성 및 취약성을 보여주는 금융불안지수(FSI, Financial Stress Index) 및 금융취약성지수(FVI, Financial Vulnerabili.. 미국은 장단기금리 역전, 한국은? 미국의 경우 2006년 이후 처음으로 5년과 30년 만기 국채금리가 역전되면서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https://www.hankyung.com/opinion/article/2022032737101 [한상춘의 국제경제 읽기] 美 장단기 금리 역전…증시에 어떤 영향 미칠까 [한상춘의 국제경제 읽기] 美 장단기 금리 역전…증시에 어떤 영향 미칠까 , 3월 美 Fed 회의 이후 장단기 금리 역전 발생 "경기침체 예고" 놓고 논쟁 수익률 곡선 예측모델 확률 떨어졌다곤 하지 www.hankyung.com 이는 장기에 경기침체 예상으로 금리가 상대적으로 낮아진 반면, 단기에 고물가로 금리가 상승하는 경우에 나타난다. 2022년 3월 30일 기준 만기별 한국 국채수익률은 다음과 같다. ★30년물 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