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스닥' 태그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나스닥

(18)
"반복될 미래의 금융시장"에서 피해야할 것 -네피어 러셀 내피어는 세계적인 금융시장 전략가이자 금융역사가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전 발간한, 미국증시 역사 속 네 번의 침체장을 월스트리트저널(WSJ) 기사 7만 건과 당시 시장의 각종 데이터를 통해 분석한 명저 '베어마켓'으로 유명하다. 그는 Skagen Funds 주최 강연회에서 지금부터의 '금리 상승' 시대의 자산운용에 대해 이렇게 설명한다. 세계경제는 코로나 발병 "전: 저금리·저인플레" 경제에서 코로나 "후: 고금리·고인플레" 경제로 전환했다. 드러켄밀러, 폴 튜더 존스, 건들락 등 유명 투자자들은 지금의 인플레이션 상승이 끝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사람들은 어느 환경에 오래 있으면, 빠르게 적응한 후 이젠 그것을 당연하게 받아들인다. 금융시장에서 이러한 사고방식은 매우 위험하다. ..
엔비디아는 정말 폭락할까? (차트 분석 중심) 엔비디아는 인공지능(AI) 열풍과 맞닿아 주가의 고공행진을 계속해 왔다. 1조 달러까지 가는데 24년 걸렸는데, 2조 달러까지 8개월 만에 도달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 엔비디아 NVDA의 시가총액은 이제 독일 전체 주식시장과 동일한 수준이다. 2024년 3월 8일 금요일 엔비디아는 거대한 거래량을 수반한 장대음봉을 기록하며 -5.57% 를 기록했다. 이 날 미국 주가지수 역시 하락했다. 나스닥100 지수 NDX -1.53% ETF인 QQQ는 -1.44%(거래량 大) S&P500 대형주 지수 SPX -0.65% =============[목차]============== Ⅰ. 미국 주가의 계절적 통계(Seasonality) Ⅱ. 미국 대선년도의 중요 통계 Ⅲ. 미국 증시에 대한 낙관론 vs. 비관론 Ⅳ..
미국 노동절(9/5 월) 이후 주가분석 [목차] Ⅰ. 시장이 주목하는 것 Ⅱ. 양적 긴축(QT) 증액 ================ Ⅰ. 시장이 주목하는 것 9/2(금)EST 미국주 시황 -USD의 상단 지지 -주가 하락(나스닥이 제일크게 하락)+안전자산 국채 상승 →리스크오프 시장의 주목은 다음주 9/5(월)의 미국 노동절 연휴 직후. 잭슨홀 미팅에서 FRB의장 J 파월의 매파 코멘트 이후 미국주식의 상단이 빠르게 무거워지고 있지만, 9/2(금) 주가 하락에 이어, 다음주 9/5(월)의 미국 노동절 연휴 직후 미국주식이 급락할지 여부가 포커스! FRB의 매파적 태도를 받아들인 투자자들은 시장이 6월의 저가를 다시 테스트를 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느끼고 있다. 만일 저가 테스트 성공하면 이중바닥이 형성되게 되므로 마켓에 활기가 돌아올 것이다...
7월 FOMC 이후 금리와 주가 예상 ========================= [목차] Ⅰ. 미국 10년물 국채수익률 분석 1. 장기분석 2. 단기분석 3. IEF 분석 Ⅱ. 주가에 미치는 영향 Ⅲ. 이런 분이 관심을 ========================= Ⅰ. 미국 10년물 국채수익률 분석 1. 장기분석 미국 10년물 국채수익률 TNX는 현재 27.83으로, 2013년부터 현재까지 형성된 상단저항 밴드 30~35의 아래로 떨어진 상태다. 2. 단기분석 올해 5월부터 7월에 거쳐 헤드앤숄더 패턴을 만들고 있다. 오는 7/27 FOMC에서 0.75% 금리 인상이 유력한데, 장기중심 국채가격이 상승하는 등 시장은 이미 모두 반영했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또한, 7/28 미국 2분기 GDP 예상에서 GDPNow는 -1.6%를 예상하..
주식 약세장과 조정의 비교 [목차] 1. 왜 중요할까? 2. 약세장과 조정의 차이 3. 비트코인의 경우 4. 차별화 장세 ================== 1. 왜 중요할까? 여러분에게 상처를 주는 이는 누굴까? 난 아니다. 날 좋아하지도, 믿지도 않는다면 말이다. 열광하지도 신뢰하지도 않는데 그로부터 상처를 받는다는건 넌센스다. 지금 한국의 많은 이들은 투자라고 하면 손사래를 친다. 이들을 손실에 이르게 한 건 과연 누구일까? FOMO는 ‘Fear Of Missing Out’ 원래 마케팅 용어였다. 매수하지 못해 잠재적 수익을 잃고 있다는 공포 JOMO ‘Joy Of Missing Out’도 있다. 그냥 멈춰있는 편안함 위 차트가 보여주는 것은 명백하다. JOMO의 수익이 FOMO의 것보다 훨씬 크다. 눈여겨 봐야할 점은 차라리..
비트코인, 이더리움 그리고 시즌 판단 -4/16 22 [목차] 1. 지금은 무슨 시즌인가? 2. 비트코인 3. 이더리움 4. 금리 인상보다 중요한 것 ================== 1. 지금은 무슨 시즌인가? 암호화폐 신봉론자의 주장과는 달리 트레이더 입장에서 암호화폐는 주식 특히, 나스닥과 차별화되지 않는다. 본질적으로 투자자가 같기 때문이다. 이는 흔히 상관계수로써 측정하는데, (전에 반응이 시원치 않았기에 -__-) 이 부분은 생략하려고 한다. 비트멕스 창업자 "비트코인·이더리움-나스닥 상관관계 높아져...급락 가능성↑" -coinreaders(22.04.11) 그래서... 첫째로, 나스닥 등 기술주와 암호화폐는 시즌이 '거의' 같다. ※ 상관계수가 크게 (-)이 되는 경우 주의를 요한다. 이 경우 가능하면 글로써 알리겠다. 둘째로, 같은 암호화폐..
암호화폐 요약 -리뷰 나는 주간 '암호화폐 요약'에서 비트코인 BTCUSD의 중요기준을 일관되게 $46K라고 주장했다. 대부분의 글 '들'에 언급되어 있어 인용은 생략한다. 다음은 오늘 3/28 22 차트다. BTCUSD는 오늘 $45K부터 $46K로, 거래량을 수반하여, 단번에 브레이크아웃하였다. 지정학적 이벤트와 금리 급등 등으로 누적된 숏포지션이 청산되는 과정에서 위 숫자는 우연이 아니라 선물만기일의 SQ값을 계산한 결과다. 막판 미결제약정 급등도 주시해야 한다. 일단 $46K를 브레이크아웃한 이상 이 수치는 저항에서 지지로 바뀐다. "이제는 확실한 상향"의 의미가 아니라 중요 지지-저항선이 명확해진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다. '연속'으로 상승하거나 하락하는 종목은 이 세상에 없다. '시간'이 검증해주므로 누군가는 기..
러시아의 南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시장 요약 이하 22.02.24자 속보 푸틴, 우크라와 전면전 시작했다 안보리 긴급회의 도중 전격 침공 …유엔, 푸틴에 뒤통수 맞았다 러, 우크라 남부 2곳 상륙 수도 키예프에 미사일 공격 시작 러, 우크라 결국 침공 … 亞 증시 급락, 코스피 장중 2650도 붕괴 https://twitter.com/Osinttechnical/status/1496717670418456576 OSINTtechnical on Twitter “Russian ballistic missile launch https://t.co/APCpYEfBPQ” twitter.com https://twitter.com/The_Real_Fly/status/1496720935906328580 The_Real_Fly on Twitter “UKRAINIAN B..
암호화폐 요약 (2022년 8주차) [목차] -성과 리뷰 Ⅰ. 주간 암호화폐 유출입흐름 (22년 02/18 자료 기준) 1. 거래소 유출입 2. 자산별 유출입 Ⅱ. 암호화폐에 대한 기술적분석 및 정보의 유용성 Ⅲ. 비트코인과 미국주가지수의 상관관계 Ⅳ. Solana Ⅴ. Luna ====================== -성과 리뷰 2022년 2월 비트코인은 逆헤드앤숄더 패턴에 2번째 실패 2/17이후 하락한다. 그전에 지정학적 화해무드로 반등한 2/14 Pro-Crypto 의 HODLer기대와는 달리 반등했지만 패턴을 완성하는데 실패했다. 거래량 부족을 확인한 트레이더들은 즉시 '반등매도'로 대응 그후 하락시 거래량이 증가했다. 단기트레이더가 아니라면 먼저 $46K를 상향돌파하기 전까지는 관망을 추천한다. 지지-저항선은 고정된 것이 아니..
암호화폐 요약 (2022년 4주차) [목차] Ⅰ. 하락 파동 -나스닥 사례분석 Ⅱ. 주간 암호화폐 유출입흐름 (22년 01/21 자료 기준) 1. 거래소 유출입 2. 자산별 유출입 Ⅲ. 거래시간대별 평균거래량 Ⅳ. NUPL 및 고래 보유량 추이 1. 순미실현손익에 따른 사이클 2. 고래 보유량 추이의 선행성 Ⅴ. 비트코인 vs. 금 ====================== Ⅰ. 하락 파동 -나스닥 사례분석 나는 이전 블로그 글에서 주가에 대한 단기예측을 한 바 있다. https://blog.naver.com/ronem/222629319718 FOMC(22.01.26)를 기점으로 한 리뷰 및 시나리오 [목차] 1. 리뷰 2. 내 SNS의 팔로워 분들께 3. 일정 4. 지금 필요한건 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