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별화인가 버블인가
본문 바로가기

지금 세상은

차별화인가 버블인가

[목차]
Ⅰ. 리뷰
Ⅱ. 실적-주가-나스닥의 차별화에 대한 경고
Ⅲ. 버블과 붕괴
Ⅳ. 피터 린치의 격언

 

Ⅰ. 리뷰

나의 이전 글
'6월 반기말 재조정 韓-美 주가지수 차트 비교'(6/19) 결론에서
나는 단기 조정을 주장하였다.

그 후 결과는 아래와 같다.

비교 목적으로
단위 통화를 USD, NY증시 상장 EFT로 통일하였다.

미국 S&P500
미국 나스닥100
중국
일본
한국

미국-중국-일본 등은 약간의 조정이라도 받은 반면,
공교롭게도 한국은 별다른 조정이 없었다.

 

Ⅱ. 실적-주가-나스닥의 차별화에 대한 경고

이제 실적시즌이 시작되었다.

[뉴욕증시 주간전망] 2분기 실적 시즌 출발… 소비 지표 촉각
-한국경제(7/12)

"... 이번 주(13~17일) 뉴욕증시는
기업들의 2분기 실적 발표에 초점을 맞추고
등락할 전망이다..."

[주간 증시]2분기 어닝시즌 개막… 실적 기반 쏠림현상 심화되나
-서울경제TV(7/10)

"... 2분기 실적시즌이 시작됐지만,
이에 대한 기대감은 여전히 높지 않은 상황..."

 

 

바로 이 실적시즌 직전
지금까지의 주가 상승에 대한
경고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주가만큼 이번 '실적'이
지금까지의 주가 상승 및 차별화를
정당화할 수 있을까?

https://finance.yahoo.com/news/novogratz-says-stock-bubble-spurring-210410191.html

 

Novogratz Says Stock Bubble Spurring ‘Dangerous Valuations’

(Bloomberg) -- Mike Novogratz, the longtime money manager who now runs digital currency investor Galaxy Digital Holdings Ltd., said the stock market is “unhinged from reality” as it rises higher -- and small investors should get out before it crashes.�

finance.yahoo.com

Mike Novogratz는
현재 주식시장이 상승에 대하여
“현실에서 벗어나 있으며”
"소규모 투자자 들은 추락하기 전에 빠져나와야 할 것"
을 충고했다. 

“우리는 비합리적인 충동에 빠져있다"

“경제는 갈수록 경색되고, 침체되며,
우리는 COVID에 들락날락거리고 있지만,
기술 주식은 매일 새로운 고점을 만든다. 
이것은 전형적인 투기 버블

Stan Druckenmiller와 David Tepper 등 월스트리트의 비중 있는 인물 들은 
몇 달 동안 주식시장에 대해 경보를 발령했지만, 
S&P500 지수는 더 높아져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손실을 메우고도,  
1998년 이후 최고 분기를 기록했다.

특히 기술주식의 급등은
2017년 Bitcoin가격의 상승세
즉, 크립토 통화가 폭락하기 전에
소매(개인) 투자자의 열풍으로 인해
2개월에 8,000달러에서 거의 20,000달러로 상승한 것을
상기시킨다.

Novogratz는
기술 주식 랠리 대부분에 참가하지 않고
대신 금과 비트코인에 투자했으며,
주식시장 상승의 원인인 '유동성' 덕에
동일하게 수익을 얻고 있다. 

"우리는 기술 측면과 성장 측면에서
정말 위험한 과대평가 상태에 있다"
"Zoom, Tesla 또는 Beyond Meat라면
내용에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달려들고 있다"

 

50MA 이상 종목수는 NASDAQ 등 지수에 선행성을 지닌다

 

버블과 정치 간에 연관성이 있다는 주장도 있다.

IT 버블 2000년/43대 美대선  vs  나스닥 버블 2020년/46대 美대선

美대선이 버블 정점?

 

특히 한국인은
비트코인의 예처럼
대다수 여론에 의한 투자의 경향이 강하다.

암호화폐 '김치 프리미엄' 50% 넘었다… 해외 거래 가격↘
-한국경제(2018.01.09)

Bitcoin’s ‘Kimchi Premium’ Has All But Evaporated
-coindesk(2018.3.3)

Korean Bitcoin Now Cheaper Than World Prices
-cryptobriefing(2019.1.17)

GOOGLE TRENDS SHOWS
BITCOIN IS ABOUT TO EXPLODE IN SOUTH KOREA
-bitcoinist(2019.6.13)

KOREAN CRYPTO MARKET IS ‘PRETTY DEAD’,
SAYS PRIMITIVE VENTURES FOUNDER
-bitcoinis(2019.10.21)

 

https://www.cnbc.com/2020/07/08/sp-500-divide-traders-on-market-divergence-between-mega-vs-mid-cap.html

 

A great market divergence: Traders break down the split in the S&P 500

The five largest stocks on the S&P 500 – Apple, Microsoft, Alphabet, Facebook and Amazon — have rallied double digits, but just one of the 50 smallest S&P 500 is in positive territory.

www.cnbc.com

The big just keep getting bigger and the small smaller

현재 NASDAQ 메가 주식 몇 개가 상승률을 독식
그 외의 주식은 부진하다.

“이 메가 주식은 분명히 새로운 상황,
재택근무와 아마존에서 모든 것을 주문하는
이런 종류의 경제의 업종/섹터에 남은 주식이다”

 

IT.헬스케어.아마존.구글을 제외하면 S&P500은 (-)수익율이다

 

AMAZON 공매도비율

 

또한 
지금까지 탄광의 카나리아 역할이었던
금융주 : XLF의 부진이 해소될 것인가?

 

기술주와 주가 전체의 움직임을 비교하면
역사적으로 이처럼 격차가 크게 벌어진 적이 없었다.

장기적으로는 평균으로 회귀한다. 

대형주가 하락할 것인가? 
소형주가 상승할 것인가?

 

사실 대형이든 소형이든 규모를 불문하고
주가 자체가 경제의 실제와 크게 괴리되어 있다.

일자리. 임금 및 가계 소비가 감소하는데,
생산인 IT. 헬스케어가 언제까지 증가할 수 있을까?

41% of businesses closed on Yelp
have shut down for good during the coronavirus pandemic
-marketwatch(6/25)

Retail was hit the worst.

85% of independent restaurants
may go out of business by the end of 2020,
according to the Independent Restaurant Coalition
-businessinsider(6/15)

As many as 85% of independent restaurants
may permanently close
because of the pandemic by the end of 2020,
according to a report commissioned
by the Independent Restaurant Coalition.

More grim job losses as U.S. hits record high on new COVID cases
-Reuters(7/9)

 

Ⅲ. 버블과 붕괴

현재 한국 증시에서 
KOSPI200 은 
상단 저항 갭을 돌파하려 시도하다, 아래로 내려온 상태이고, 
KOSDAQ150 은 
삼중 Peak로 추가 상승을 예단하기는 어렵다. 

나는 매크로 관점에서 '글로벌 자산군'별로 투자한다. 

나의 최근 실제 매매로는

구리 등 상품이나
환율을 보면서 중국 ETF에 투자한다. 

COVID19 재확산과 실물경기 논란이 일 때마다
장기채권 ETF를 매수한다. 

코스닥 주식이던 미국 주식이던
개별주 투자에만 한정하지 않는다.

미국ETF의 주식 vs 채권 펀드플로우 비교

 

부의 흐름은 기존의 선진국에서 아시아로!



특히 개인들이 열광하는 대상은 절대 피한다. 
(나는 그런 이유로
시황에서 반드시 주체별 수급을 확인한다.)

지금까지의 버블 붕괴는
거의 개인투자자에 의한 것이다. 

즉, 언론을 이용하여 붐을 일으켜
고점에서 개인투자자에게 떠넘긴 후에
붕괴시키는 것이다.

 

언론이나 조회수가 아닌
스스로의 통찰 만이 수익을 가져다준다
여기서 통찰이란 오로지 '시장'에 대한 것이다. 

즉, 개인 등 시장 참여자의 여론이나 인기로는
수익이 생길 리가 없다. 

투자 구루 들의 경고를 귀담아 들어야 하는 이유는
그들은 '시장'에 대한 전문가이기 때문이다.

 

Ⅳ. 피터 린치의 격언

투자의 목적은
내 자산의 증식이지,
대중이 투자전문가라고 불러주는 것이 아니다. 

투자의 본질은 게임과 다를 바 없다. 
나 자신의 노력으로 보상을 받는다기 보다,
정해진 시장 룰에 따라 상대방과 게임하여
내가 능가할 때 그들의 돈을 내가 가져오는 것이다. 

즉, 군중. 다수는 결국 '평균'이고,
이들을 따르는 것으로는 초과수익을 낼 수 없다.

소수의 선점이
다수의 자본을 독식한다. 

이것이 자본의 천성이다.

 

대다수의 사람들이 주식을 거들떠보지 않을 때가
비로소 주식을 사야 할 때이고,
반대로 사람들이 주식을 최고의 화제로 올리는 순간이
주식을 팔아야 할 때다. 
다수가 움직이는 방향으로 가서는 성공할 수 없다.

스릴만점이라는 고성장 업종은
주가가 떨어지는 것을  
지켜보는 것 외에는
실제로 아무런 스릴도 없다. 

깊은 시장 조정을 일으키는 요인이 무엇인지는 분명치 않지만,
그런 깊은 시장 조정이 없었다면,
훌륭한 장기투자자들 대부분은
그런 엄청난 수익률을 얻지 못했을 것이다.

- 피터 린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