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 (14) 썸네일형 리스트형 "반복될 미래의 금융시장"에서 피해야할 것 -네피어 러셀 내피어는 세계적인 금융시장 전략가이자 금융역사가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전 발간한, 미국증시 역사 속 네 번의 침체장을 월스트리트저널(WSJ) 기사 7만 건과 당시 시장의 각종 데이터를 통해 분석한 명저 '베어마켓'으로 유명하다. 그는 Skagen Funds 주최 강연회에서 지금부터의 '금리 상승' 시대의 자산운용에 대해 이렇게 설명한다. 세계경제는 코로나 발병 "전: 저금리·저인플레" 경제에서 코로나 "후: 고금리·고인플레" 경제로 전환했다. 드러켄밀러, 폴 튜더 존스, 건들락 등 유명 투자자들은 지금의 인플레이션 상승이 끝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사람들은 어느 환경에 오래 있으면, 빠르게 적응한 후 이젠 그것을 당연하게 받아들인다. 금융시장에서 이러한 사고방식은 매우 위험하다. .. 2023년 6월 FOMC 결과 미국 및 한국의 기준금리 분석-전망 [ 목 차 ] Ⅰ. 2023년 6월 FOMC 결과 Ⅱ. 미국 및 한국의 기준금리와 금리차 Ⅲ. 한국의 현 상황 분석 Ⅳ. 한국은행의 대응 Ⅴ. 향후 전망 Ⅰ. 2023년 6월 FOMC 결과 미국은 10회 연속 금리인상 뒤 6월14일 FOMC에서 금리를 동결했다. 다만, 연내 0.5% 추가인상 가능성을 시사했다. 파월 연준 의장은 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인플레이션 압력이 계속 높은 상태"라며, "거의 모든 (FOMC) 위원들이 올해 중 추가 금리 인상이 적절할 것 같다는 견해를 보였다"고 전했다. Ⅱ. 미국 및 한국의 기준금리와 금리차 미국이 기준금리 5.00~5.25%로 유지함에 따라 현재 기준금리가 3.5%인 한국과 비교해, 한미 금리차는 '1.75% 포인트'로 역전 상태다. Ⅲ. 한국의 현 상황 분석.. 올해 엘리뇨의 여름에 폭등할 농산품은? 불운하게도. 전세계 식량 가격이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할 때 엘니뇨가 이에 맞춰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높은 식량가격은 인플레이션을 가속화시켜, 과거 '중동의 봄' 의 사례처럼 일부 식량부족 국가의 사회적 불안을 일으키기 때문에 위험하다. 현재 폭등하고 있는 농산품을 알아본다. 1. 감자 감자 선물(Futures)은 유럽에너지거래소(EEX)에서 널리 거래되고 있다. 그래서 계약단위는 EUR다. 위 차트에서 보듯이 올해 2사분기가 시작하면서부터 감자의 가격은 급격히 오르고 있다. 과거 2017년에 갑자칩이 부족 사태에 빠진 사례도 있다. 세계최대 감자 생산국은 중국으로 인도, 러시아, 우크라이나가 그 뒤를 잇는다. 미국은 세계에서 5위의 감자 생산국이다. 한편, 엘리뇨 등 기상조건에 따라 중국의 감자 .. 미국주식은 매도, 제로리스크 단기 금리는 미국주식 배당금의 2배이상 수익 -J 건들락 다음은 제프리 건들락(DoubleLine Capital CEO)의 CNBC와의 인터뷰 내용이다. Regional banking crisis won’t end unless the Fed cuts interest rates, Jeffrey Gundlach says -2023.05.03 https://www.cnbc.com/2023/05/03/regional-bank-crisis-will-end-when-the-fed-cuts-rates-gundlach-says-.html ========================== [목차] Ⅰ. 건들락의 금리와 위험자산 전망 Ⅱ. 자산간 자금 쟁탈전 Ⅲ. S&P500 예상 Ⅳ. 결어 ========================== Ⅰ. 건들락의 금리와 위험자산 전망 20.. 금 vs. 농산물, 1970년대 장기 인플레 시대에는 어느 것이 더 올랐을까? [목차] Ⅰ. 인플레이션이 장기 추세인 시대 Ⅱ. 1970년대 원자재 시세 Ⅲ. 금 시세 Ⅳ. 농산물 시세 Ⅴ. 결론 현재 인플레이션이 화두로 떠오르면서 시장참가자는 금.은, 옥수수.밀 등 금융시장에서 거래되는 원자재 종목을 금융 완화시 인플레이션 헷지를 위해 매수하고, 금융 긴축시 하락을 예상하여 매도한다. 하지만 인플레이션이 장기화된다면 원자재의 시세 '상승'은 장기적인 추세가 된다. 이 때 각 종목은 어떻게 움직일까? 어떤 상품을 사면 좋을까? Ⅰ. 인플레이션이 장기 추세인 시대 미국에서 인플레이션이 장기화된 때가 1970년대였고, 그때 인플레이션은 한 번만 온 것이 아니었다. 인플레이션은 세 차례에 걸쳐 세계경제를 강타했다. 아래는 당시 미국의 인플레이션율 및 정책금리 차트이다. 중앙은행이 완화하.. 레이 달리오, 은행 위기로 인한 주가 폭락과 금융완화로의 전개 예상 [목 차] Ⅰ. 글로벌 은행 위기 Ⅱ. 채권 폭락이 은행주 폭락으로 이어지고 Ⅲ. 폭락 시세의 시작 Ⅳ. 미국주가의 동향 Ⅴ. 중앙은행은 어떻게 움직일까? Ⅰ. 글로벌 은행 위기 실리콘밸리 은행과 시그니처 은행의 파산에 이어 미국에서는 퍼스트리퍼블릭 은행, 유럽에서는 크레디트스위스의 위기가 화제가 되고 있다. 단번에 은행, 더 나아가 금융 위기의 양상이다. 왜 이렇게 되었나? 가장 큰 이유는 인플레이션 대책의 금융긴축 목적 자체가 세상에 존재하는 예금의 양을 줄이는데 있기 때문이다. 언론(특히 미국 언론)의 외침과는 달리 현재 물가 급등의 진짜 원인은 코로나 시기의 현금 급부이지, 우크라이나 정세가 아니다. 돈을 뿌려서 인플레가 되었기 때문에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통화긴축으로 회수할 수밖에 없다. 하.. 과거 40년간 상승시세를 전제로 미래 투자를 해서는 안 된다 -제프리 건들락 DoubleLine Capital의 제프리 건들락이 Yahoo! Finance에서 한 인터뷰 내용의 요약이다. 지난 수십년의 시세를 이끌어온 금융완화가 인플레이션 발생에 따라 종료될 때 자산가격이 어떻게 될까? [목차] 40년 지속된 저금리시세 40년간 계속 상승한 미국주 결론 40년 지속된 저금리시세 2022년 인류가 인플레이션에 대해 떠들기 시작할 때까지 선진국의 금리는 계속 내려오고 있었다. 정확하게 말하면, 금리 천장은 1980년이었다. 미국은 1970년대 물가상승을 금리 상승으로써 극복한 뒤 20%까지 상승한 정책금리를 40년간에 걸쳐 저하시켜 왔다. 미국의 정책금리를 장기적으로 보면 다음과 같다. 다음은 건들락의 코멘트다. "2022년까지 지난 40년간 장기적으로 보면 금리는 오로지 계속 .. 바이런 빈(Byron R. Wien)의 "The Ten Surprises of 2023"전망 요약 https://www.blackstone.com/insights/article/byron-wien-and-joe-zidle-the-ten-surprises-of-2023/ https://www.blackstone.com/insights/article/byron-wien-and-joe-zidle-the-ten-surprises-of-2023/ www.blackstone.com Byron이 다음해의 경제, 금융시장 및 정치적 서프라이즈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밝힌 것이 올해로 38년째입니다. Byron은 "서프라이즈"를 일반투자자는 일어날 확률을 3분의1에 불과하다고 정하지만, Byron은 일어날 확률이 50% 이상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이벤트로 정의합니다. (1) 민주·공화 양당 모두 다수의 후보자가 20.. 기준금리 예상 -미국 및 한국 9월말 기준 [목차] Ⅰ. 미국(다음번 FOMC 9월21일) Ⅱ. 한국(다음번 금통위 9월22일) Ⅲ. 한국과 미국 기준금리 예상(2022년 9월말 기준) Ⅰ. 미국(다음번 FOMC 9월21일) J 파월은 실업율이 증가할지라도, 금리 인상을 통해 인플레이션을 감소시킬 것을 공식적으로 약속했다.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209089444Y WSJ "연준, 9월도 0.75%P 금리인상 전망"…부의장도 고금리 지지 WSJ "연준, 9월도 0.75%P 금리인상 전망"…부의장도 고금리 지지, 뉴스 www.hankyung.com 이 경우 미국 기준금리는 3.25%에 이르게 된다. Ⅱ. 한국(다음번 금통위 9월22일) https://biz.chosun.com/policy/po.. 바이든플레이션이 불러온 주가 흐름 그리고 한국 ============================== [목차] Ⅰ. 바이든플레이션 Ⅱ. 6월 FOMC 회의 Ⅲ. 6월 쿼드러플위칭데이 Ⅳ. 경우의 수 1) 6월 FOMC 회의의 결과를 받아 주가가 반등한다면 2) 6월 FOMC에서 자이언트스텝을 밟는 경우 Ⅴ. Scott Minerd at the WEF in Davos Ⅵ. "태풍"속의 한국 ============================== Ⅰ. 바이든플레이션 치솟는 물가에 바닥 치는 지지율 …바이든 정부, 인플레 책임론 방어 총력 -동아(2022-06-06) J 바이든 대통령 및 미국 민주당의 미국내 인플레 상승에 대한 해명은 오는 11월 미국 중간선거 지지율을 계속 떨어뜨리고 있다. 미국인들에겐 그저 '탓하기'로 보인다는 의미로, 미국 언론에서..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