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B' 태그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FRB

(7)
Trumponomics 2.0 Over Bidenomics 트럼트 예상정책 정리 올해 11월 5일에 미국 대통령 선거가 예정되어 있다. 전 대통령인 도널드 트럼프의 이번 당선 가능성이 점쳐지면서, 한국에서는 '트럼프 2기' 리스크를 안보, 외교 측면에서 다각도로 분석하고 있다. 현재 트럼프 지지율의 바탕은 기본적으로 경제 문제에 대한 것으로, 미국 국민 들로부터 바이든 현직 대통령보다 압도적인 신뢰를 얻고 있다. 지금 선거전의 주요 테마는 "미국은 과연 4년 전보다 부유한가?" 다. 이에 관하여 1월 10자 블룸버그 기사를 소개한다. Trumponomics 2.0: What to Expect If Trump Wins the 2024 Election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4-01-10/if-trump-wins-in-2024-exp..
리세션 국가순위 및 글로벌 금리 예상 ====================================== [목차] Ⅰ. 2023년 리세션 확률 국가별 순위 Ⅱ. 국가별 정책금리 및 실질금리 현황 Ⅲ. 2023년 5월 FOMC 금리 인상 예상 Ⅳ. 2023년말의 금리 예상 Ⅴ. 5월에 주가상승 예상 섹터(Seasonality 계절성) ====================================== Ⅰ. 2023년 리세션 확률 국가별 순위 다음은 2023년 4월 기준으로 Bloomberg가 집계한 자료입니다. 미국의 대리전쟁과 파이브아이즈 동맹의 지지국 들이 경제 리세션에 빠질 가능성이 가장 높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많은 제재를 받는 국가인 러시아는 중간 정도의 하락 가능성이 있습니다. 한국과 일본도 러시아와 비슷한 수준입니다. BRIC..
글로벌 「탈달러화 De-Dollarization」의 미래는? ======================== [목차] Ⅰ. 미국달러 USD의 하락 Ⅱ. 탈달러화(De-Dollarization) Ⅲ. 미국달러 USD의 대안 Ⅳ. 데자뷰 Ⅴ. 결론 ======================== 글로벌 탈달러화(De-Dollarization)를 언론에서 자주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SNS에서도 미디어에서도 다루는 빈도가 늘고 있는 것 같습니다. Ⅰ. 미국달러 USD의 하락 "미국달러가 폭락하여 기축통화 지위를 잃는다." 지금까지 흔히 음모론자 들의 견해였습니다. 해마다 폭락, 폭락이라 우기면 언젠가는 맞기 때문에 폭락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말을 멈추지 않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지난 10년 이상 미국달러 USD의 강세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USD에 대한 KRW의 상대적 추세..
2023년  주요국 정책금리 발표 및 한국은행 금통위 개최 스케쥴 미국 FRB(Federal Reserve Bank)의 "FOMC 회의"로 대변되는 각국 중앙은행의 금리 등 금융정책 결정회의는 주식 및 외환 등 금융자산 가격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주가는 미국이 주도하는 경향이 있지만, 각국 중앙은행의 금리결정에 따라 환율페어가 변동, FX트레이더에게는 주요국의 금융정책 변동 모두가 중요하다. 주요국의 금리 변동은 금융자산의 가격변곡점이 될 가능성이 있다. 표 안의 숫자는 월에 해당하는 일자로서, 한국시간 기준으로 환산하였다. 다음은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회의 일정이다. 통화정책방향결정회의는 1월, 2월, 4월, 5월, 7월, 8월, 10월 및 1월 모두 8회이고, 금융안정회의는 3월, 6월, 9월 및 12월 모두 4회로 예정되어 있다.
바이런 빈(Byron R. Wien)의 "The Ten Surprises of 2023"전망 요약 https://www.blackstone.com/insights/article/byron-wien-and-joe-zidle-the-ten-surprises-of-2023/ https://www.blackstone.com/insights/article/byron-wien-and-joe-zidle-the-ten-surprises-of-2023/ www.blackstone.com Byron이 다음해의 경제, 금융시장 및 정치적 서프라이즈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밝힌 것이 올해로 38년째입니다. Byron은 "서프라이즈"를 일반투자자는 일어날 확률을 3분의1에 불과하다고 정하지만, Byron은 일어날 확률이 50% 이상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이벤트로 정의합니다. (1) 민주·공화 양당 모두 다수의 후보자가 20..
6월 반기말 재조정 韓-美 주가지수 차트 비교 나는 개인적으로 시장의 RiskOn / RiskOff 상태를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판단한다. 1. 주가 2. 10년 만기 美국채수익률 3. 크로스엔(USDJPY를 제외한 JPY-주요 통화 페어) ※ 크로스엔은 USDJPY에 대해 선행성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 1. 2. 3. 모두 상승하면 RiskOn 하락하면 RiskOff 이 글은 FX 기사를 읽다가 문득 6/18 지금이 전환점일 수도 있겠구나 싶어 작성한 것이다. [목차] 1. 주목할만한 사실 1-1 FRB 대차대조표 축소 1-2 소매 투자자의 센티멘트의 변화 1-3 검증 2. 차트 툴 3. 차트 분석 4. 음모론 5. 투자 구루들의 경고 6. 결론 ----------------------------------------------------- 1. ..
The moment of truth - Scott Minerd 기본적으로 티스토리 블로그에는 실시간 중요 사안을 다루기보다 오랫동안 생각할 수 있는 글을 올리려 한다. 실시간 중요 사안은 네이버 블로그에 올린다. blog.naver.com/ronem 세상 한반도 글로벌매크로 : 네이버 블로그 세상/한반도 변화의 흐름에 따른 실시간 투자 blog.naver.com 난 트위터에다 이렇게 적었다. "강직한 금융인의 표상" 스콧 마이너드. 이전 채권왕 빌 그로스가 다음 채권왕으로 지목했었고, 트럼프 시대 FRB 이사로 위촉됐으나, 자신이 고사한 인물. 2020년 5월 14일 이분의 트윗이 나왔는데 이는 다음 시대를 설명하는데 도움을 준다. 참고로 이분의 묵시록적인 직전 트윗은 5/12에 나왔는데 그날부터 S&P500 이 하락했다. 아래 트윗부터 주식: 상승 추세의 천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