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mc' 태그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fomc

(11)
미국과 한국의 금리 전망 =======[목차]====== Ⅰ. 미국 Ⅱ. 한국 Ⅲ. 질병 X (Disease X) ================= Ⅰ. 미국 Fed Minutes Show Unease Over Premature Cuts 연준 회의록, 조기 금리 인하에 대한 불안감 드러내 Only two officials highlighted the risks of keeping rates too high for too long at last month’s policy meeting 지난달 정책회의에서 금리를 너무 오랫동안, 너무 높게 유지하는 것의 위험을 강조한 멤버는 두 명뿐 -WSJ 2024. 02. 21. 2월 21일 미국 연방준비제도 FED가 공개한 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 따르면 위원들은 대체로 인플레..
2023년 6월 FOMC 결과 미국 및 한국의 기준금리 분석-전망 [ 목 차 ] Ⅰ. 2023년 6월 FOMC 결과 Ⅱ. 미국 및 한국의 기준금리와 금리차 Ⅲ. 한국의 현 상황 분석 Ⅳ. 한국은행의 대응 Ⅴ. 향후 전망 Ⅰ. 2023년 6월 FOMC 결과 미국은 10회 연속 금리인상 뒤 6월14일 FOMC에서 금리를 동결했다. 다만, 연내 0.5% 추가인상 가능성을 시사했다. 파월 연준 의장은 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인플레이션 압력이 계속 높은 상태"라며, "거의 모든 (FOMC) 위원들이 올해 중 추가 금리 인상이 적절할 것 같다는 견해를 보였다"고 전했다. Ⅱ. 미국 및 한국의 기준금리와 금리차 미국이 기준금리 5.00~5.25%로 유지함에 따라 현재 기준금리가 3.5%인 한국과 비교해, 한미 금리차는 '1.75% 포인트'로 역전 상태다. Ⅲ. 한국의 현 상황 분석..
리세션 국가순위 및 글로벌 금리 예상 ====================================== [목차] Ⅰ. 2023년 리세션 확률 국가별 순위 Ⅱ. 국가별 정책금리 및 실질금리 현황 Ⅲ. 2023년 5월 FOMC 금리 인상 예상 Ⅳ. 2023년말의 금리 예상 Ⅴ. 5월에 주가상승 예상 섹터(Seasonality 계절성) ====================================== Ⅰ. 2023년 리세션 확률 국가별 순위 다음은 2023년 4월 기준으로 Bloomberg가 집계한 자료입니다. 미국의 대리전쟁과 파이브아이즈 동맹의 지지국 들이 경제 리세션에 빠질 가능성이 가장 높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많은 제재를 받는 국가인 러시아는 중간 정도의 하락 가능성이 있습니다. 한국과 일본도 러시아와 비슷한 수준입니다. BRIC..
이동평균선으로 본 미국경제 주요지표 차트(KOSPI200 포함) [목차] 1. J 파월의 상.하원 청문회 2. 이동평균선으로 본 미국경제 주요지표 차트 3. KOSPI200 의 경우 1. J 파월의 상.하원 청문회 미국 FRB 의장은 반기에 한 번 의회에서 청문회 절차를 거친다. 올해 2023년에는 3월 7일에 상원 위원회, 3월 8일에 하원 위원회가 열렸다. 파월 의장은 7일(현지시간) 상원 청문회에서 “최근 경제지표가 예상보다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최종적인 금리 수준이 이전 전망보다 높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시사한다” “만약 전체적인 지표상 더 빠른 긴축이 필요하다면, 우리는 금리 인상의 속도를 높일 준비가 돼 있다” “물가 안정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당분간 제한적인 통화정책 기조 유지가 요구된다”고 발언했다. 3월 FOMC를 앞두고 나온 파월 의장의 발언은..
2023년  주요국 정책금리 발표 및 한국은행 금통위 개최 스케쥴 미국 FRB(Federal Reserve Bank)의 "FOMC 회의"로 대변되는 각국 중앙은행의 금리 등 금융정책 결정회의는 주식 및 외환 등 금융자산 가격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주가는 미국이 주도하는 경향이 있지만, 각국 중앙은행의 금리결정에 따라 환율페어가 변동, FX트레이더에게는 주요국의 금융정책 변동 모두가 중요하다. 주요국의 금리 변동은 금융자산의 가격변곡점이 될 가능성이 있다. 표 안의 숫자는 월에 해당하는 일자로서, 한국시간 기준으로 환산하였다. 다음은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회의 일정이다. 통화정책방향결정회의는 1월, 2월, 4월, 5월, 7월, 8월, 10월 및 1월 모두 8회이고, 금융안정회의는 3월, 6월, 9월 및 12월 모두 4회로 예정되어 있다.
7월 FOMC 이후 금리와 주가 예상 ========================= [목차] Ⅰ. 미국 10년물 국채수익률 분석 1. 장기분석 2. 단기분석 3. IEF 분석 Ⅱ. 주가에 미치는 영향 Ⅲ. 이런 분이 관심을 ========================= Ⅰ. 미국 10년물 국채수익률 분석 1. 장기분석 미국 10년물 국채수익률 TNX는 현재 27.83으로, 2013년부터 현재까지 형성된 상단저항 밴드 30~35의 아래로 떨어진 상태다. 2. 단기분석 올해 5월부터 7월에 거쳐 헤드앤숄더 패턴을 만들고 있다. 오는 7/27 FOMC에서 0.75% 금리 인상이 유력한데, 장기중심 국채가격이 상승하는 등 시장은 이미 모두 반영했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또한, 7/28 미국 2분기 GDP 예상에서 GDPNow는 -1.6%를 예상하..
바이든플레이션이 불러온 주가 흐름 그리고 한국 ============================== [목차] Ⅰ. 바이든플레이션 Ⅱ. 6월 FOMC 회의 Ⅲ. 6월 쿼드러플위칭데이 Ⅳ. 경우의 수 1) 6월 FOMC 회의의 결과를 받아 주가가 반등한다면 2) 6월 FOMC에서 자이언트스텝을 밟는 경우 Ⅴ. Scott Minerd at the WEF in Davos Ⅵ. "태풍"속의 한국 ============================== Ⅰ. 바이든플레이션 치솟는 물가에 바닥 치는 지지율 …바이든 정부, 인플레 책임론 방어 총력 -동아(2022-06-06) J 바이든 대통령 및 미국 민주당의 미국내 인플레 상승에 대한 해명은 오는 11월 미국 중간선거 지지율을 계속 떨어뜨리고 있다. 미국인들에겐 그저 '탓하기'로 보인다는 의미로, 미국 언론에서..
12월 FOMC의 예상 및 '금리/주식/암호화폐'에 미치는 영향 분석 [목차] 1. 중요이벤트 2. FOMC 예상 3. 글로벌금리 예측 4. 미국주식에 미치는 영향 5. 암호화폐에 미치는 영향 ====================== 1. 중요이벤트 12/15(水) - 美 FOMC 16(木) - EU,英 금융정책 발표 17(金) - 日 금융정책 발표 중앙은행간에는 '상호협의하의 공조'가 일반적이므로, 일정 순서상 美FOMC 이후, 이에 배치되는 금융정책은 나오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2. FOMC 예상 美 11월 CPI 전년比 6.8%↑ …1982년 이후 최고(상보) 日 11월 생산자물가 전년비 9.0%↑ …41년 만에 최고 WSJ기자 Nick Timiraos는 FRB의 대변인으로 유명하다. https://www.livemint.com/economy/high-inflat..
오미크론 장세 및 관련종목 (21 11/29 현재) 1. 오미크론 장세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112815240001655 검사도 어려운 새 변이 '오미크론'... 위드 코로나 대형 악재 기존 PCR검사로 오미크론 못 찾아 www.hankookilbo.com 남아프리카에서 돌연변이종인 오미크론 균주로 인해 주말 글로벌 금융시장이 폭락했다. 백신관련주 화이자 및 모더나는 급등했다. 모더나는 화이자에 비해 코로나 백신매출 비중이 높다. 다시 글로벌여행 제한이 강화된다는 생각에 여행주 및 원유가 급락했다. 에너지가격이 폭락하면서 명목금리도 급락했다. →'조기' 금리인상 관련 12월 FOMC에 영향을 줄 것인가? https://m.yna.co.kr/amp/view/AKR20211128015200009 오미크론..
2021년말... 나스닥은 계절성대로 올해도 오를까? 비트코인은? [목차] Ⅰ. 올해도 나스닥은 계절성 대로 오를까? 확인사항은? 1. 계절성 통계 2. 신저가 종목수 3. ADL 및 '신고가 종목수-신저가 종목수' 4. 중요일정 Ⅱ. 비트코인은? 1. 유동성 분석 2. 매물대 분석 3. 반감기 분석 4. 이동평균선을 이용한 기간 분석 p.s.) QTUM 반감기 ------------------------------------------------------------ Ⅰ. 올해도 나스닥은 계절성 대로 오를까? 확인사항은? 1. 계절성 통계 통계적으로 미국의 주가지수는 11월~12월까지 강한 상승세를 보인다. 이는 주로 추수감사절 및 성탄절 휴일소비와 관련이 있다. 아래 라이언 데트릭 님의 트윗은 거기서 더 나아가 올해 2021년의 상승률이 이듬해의 상승까지 이어질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