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안(ASEAN)+3(한중일)의 거시경제조사기구(AMRO)는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이
지난해의 2.6%보다 낮은 1.7%에 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https://www.amro-asia.org/asean3-regional-economic-outlook-areo-2023/
ASEAN+3 Regional Economic Outlook (AREO) 2023 - AMRO ASIA
APRIL 6, 2023 | REGIONAL ECONOMIC OUTLOOK ASEAN+3 Regional Economic Outlook 2023 The seventh issue of the ASEAN+3 Regional Economic Outlook (AREO 2023) provides AMRO staff’s comprehensive assessment of conjunctural and structural issues in the 10 members
www.amro-asia.org
올해 한국·중국·일본 중 우리나라 경제만
유일하게 지난해보다 악화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을 포함한 위 국가들은
개발도상국인 'ASEAN'과는 별도로
아시아 중 선진국격인 '+3'으로 분류된다.
올해 2023년 GDP 성장률 추정치의 경우
한국만 마이너스 성장이 추정되고 있다.
중국: 3.0% ⇒ 5.5%
홍콩: -3.5% ⇒ 4.3%
일본: 1.0% ⇒ 1.2%
한국: 2.6% ⇒ 1.7%
반대로 올해 2023년 인플레 추정치는
한국이 가장 높다.
중국의 경기 회복 지연, 미국의 경기 둔화,
국제 에너지 가격 재상승 등으로
글로벌 경기 침체가 심화하고 있어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가
직격탄을 맞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추경호 경제부총리는
“반도체 등 수출에서 중국의 리오프닝 효과가
아직 본격화되지 않고 있다”고 우려했다.
우리 경제는 점점 더 힘든 국면으로 빠져들고 있다.
우리 수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해온
반도체 수출과 대(對)중국 수출이
급감한 것이 주요 요인이다.
정부와 정치권은 우리 전략산업이 초격차 기술을 바탕으로
‘퍼스트무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민간 기업에 대한 전방위 지원을 서둘러야 한다.
또 일부 품목에 치우친 수출 산업구조를 재편하고
방산·원전·바이오 등 신(新)성장동력을 점화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금융시장 > 한국 금융시장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획재정부의 야심차고도 무모한 도전 (0) | 2023.06.08 |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의 경고 (1) | 2023.05.29 |
한국은행의 부동산 경기 전망(2023년) (0) | 2023.03.11 |
해외IB의 한국 성장률 전망 ... 암울 (0) | 2023.01.05 |
2023년 대비 한국 금융위기 징후 5가지 (0) | 2022.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