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세상은 (77) 썸네일형 리스트형 한국 '투자이민'의 요건을 강화... 중국인을 겨냥? 한국에는 '투자이민' 제도가 있다. 참고로 일본에는 없다. 즉, 「돈을 투자해주면 거주권・영주권을 준다」는 것으로, 예를 들면, 사이프러스는 EU에 가입했기 때문에 과거 중국의 부자에게 투자이민의 목표였다(황금여권). 한국의 경우에는 55세 이상 외국인이 최소 3억원을 투자하면 거주권을 얻을 수 있고, 5년간 계속 투자하면 영주권을 취득할 수 있다. 즉, 5년간 투자를 유지 15억원 투자하면 한국 영주권을 획득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이 악용되고 있다며 한동훈 법무부장관이 이끄는 법무부가 개정에 나서게 되었다. 2023년 06월 29일 한국 법무부는 필요한 최저 금액을 대폭 올리겠다고 공표했다. '공익사업 투자이민제도'란 법무부장관이 지정‧고시한 공익 펀드 등에 일정 자본을 투자한 외국인에게 경제.. "우리는 대만의 독립을 지지하지 않는다" -미국 국무장관 블링컨 한국어 기사로는 美 블링컨 국무장관의 訪中 결과는 미국의 성과를 강조해 보도되었다. 시진핑, 블링컨에 ‘상호존중’ 강조 … 美中 경쟁 속 대화 국면 전환 시진핑, 블링컨 美국무 만나 “양국 합의 진전, 매우 좋은 일” 하지만, 정작 핵심주제 "대만"에 대해서는 주요 한국어 매체가 언급을 회피하고 있다. While Pledging to Defend Taiwan from China, Biden Shifted on Taiwan Independence. Here’s Why That Matters. -CFR 22.09.22. The State Department’s website currently notes, “we do not support Taiwan independence,” and Secretary of .. 싱하이밍 중국대사와 이재명 만찬의 진짜 속내는? 2023년 6월 8일 한국 최대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의 이재명 당대표가 싱하이밍 주한 중국대사의 만찬 초청으로 만났다. 현재 각 계에서 이재명 당대표에게 실망스럽다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여당 '국민의힘' 뿐만 아니라 좌파-진보진영에서도 이재명에 대한 실망감이 확산되고 있다. 싱하이밍 대사의 장황한 설교 장면에서 이재명 대표는 마치 '중국 사대주의 인물'처럼 보였다. 중국대사 고압 발언과 관저 생중계, 모두 적절치 않다 https://www.hani.co.kr/arti/opinion/editorial/1095308.html 중국 대사 고압 발언과 관저 생중계, 모두 적절치 않다 [사설] 싱하이밍 주한 중국대사가 지난 8일 저녁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대사관저로 초청한 자리에서 “미국이 전력으로 중국을 .. 이민갈 때 전 세계에서 개인 소득세가 없는 국가는? [목차] 1. 이민갈 때 고려사항 2. 개인 소득세가 없는 국가 리스트 3. 개인 소득세가 적은 국가 리스트 4. 중요 고려사항 1. 이민갈 때 고려사항 '이민' 이라는 주제를 떠올릴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항목 들이 있다. 예를 들면 세금, 생활비, 영어 통용도 등 이다. 전 세계에는 개인 소득세를 부과하지 않는 국가 들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이러한 특혜를 제공하는 이유는 경제 발전을 촉진하기 위하여 외국인 투자 및 기업 및 숙련된 전문가를 자국으로 유치하기 위한 목적인 경우가 많다. 다음은 2023년 기준 이러한 이민 관련 항목별 국가 리스트다. 2. 개인 소득세가 없는 국가 리스트 글로벌에서 개인 소득세가 없는 국가 상위는 중동 및 조세피난처 국가 들이다. 중동의 사우디, 쿠웨이트, 오만은 개인 .. 2023년 국가별 부채 비교(가계부채 포함) =============[목차]============ Ⅰ. 개괄 Ⅱ. 한국을 중심으로 각 국의 부채 비교 Ⅲ. 시사점 ============================== 다음은 The Institute of International Finance(이하 IIF)의 Global Debt Monitor: Cracks in the Foundation (23.05.17 발간)을 참조하여 분석한 것이다. https://www.iif.com/Portals/0/Files/content/Global%20Debt%20Monitor_may2023_vf.pdf Ⅰ. 개괄 전 세계 부채 규모는 2023년 1분기에 8조3000억 달러 증가하여 사상 최대치인 305조 달러를 기록했다. 높은 부채 수준과 상승하는 이자율로 인해 .. 올해 엘리뇨의 여름에 폭등할 농산품은? 불운하게도. 전세계 식량 가격이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할 때 엘니뇨가 이에 맞춰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높은 식량가격은 인플레이션을 가속화시켜, 과거 '중동의 봄' 의 사례처럼 일부 식량부족 국가의 사회적 불안을 일으키기 때문에 위험하다. 현재 폭등하고 있는 농산품을 알아본다. 1. 감자 감자 선물(Futures)은 유럽에너지거래소(EEX)에서 널리 거래되고 있다. 그래서 계약단위는 EUR다. 위 차트에서 보듯이 올해 2사분기가 시작하면서부터 감자의 가격은 급격히 오르고 있다. 과거 2017년에 갑자칩이 부족 사태에 빠진 사례도 있다. 세계최대 감자 생산국은 중국으로 인도, 러시아, 우크라이나가 그 뒤를 잇는다. 미국은 세계에서 5위의 감자 생산국이다. 한편, 엘리뇨 등 기상조건에 따라 중국의 감자 .. Too big to fail(大馬不死)의 끝판왕 2008년 리먼 브라더스의 금융위기(서브프라임론 파산)으로 미국의 금융기관들이 파산으로 몰렸을 때, 미국 정부는 너무 커서 파산시킬 수 없다는 이유로 오히려 세금으로 대형 금융기관을 구제하였습니다. 국가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는 대형 은행들은 하이 리턴을 바라고 하이 리스크에 거는 위험한 짓을 해도 정부가 구제해 주기 때문에 안전하다고 생각하며, 도덕적 해이-남용이 당연시 되어 있습니다. 지금도요. 최근 캘리포니아의 실리콘밸리 은행과 시그너처 은행의 파산과 관련하여 미국 증권감독위원회는 "리스크 관리에 문제가 있었다"고 판정했습니다. 두 은행은 대형 (Too big)으로 여겨지지 않는 업계 17위 정도의 중견수준의 은행입니다. 미국 금융당국인 FRB, FDIC(연방예금보험공사: 25만 달러 이하의 예금을 .. 패스트푸드 체인점의 진실 Chicken little! How 14 popular fast-food chains are bulking up their poultry-based offerings with seaweed, beef, soy, oats and WOOD 치킨 리틀! 14개의 인기 패스트푸드 체인점이 해조류, 소고기, 대두, 귀리, "나무"로 패티 등 가금류 기반 제품을 증량하는 방법 다수의 제품이 첨가물 및 단백질과 함께 고기를 60%만 함유하고 있습니다. 일부 제품에는 15가지 이상의 재료가 혼합되어 있습니다. https://www.dailymail.co.uk/news/article-12068339/How-fast-food-chains-bulking-chicken-based-offerings-seaweed-beef-WO.. 한국의 코로나 미스터리 한국인 치고 현재 코로나 현황에 관심있는 분은 없으리라 생각한다. 하지만, 코로나 및 백신에 대해 국민에 대해 과장-기만한 前정권과 대비해 現정권 역시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 들이 있다. 간략히 요약하면 前 문재인 정권에서는 코로나를 과장하여 민간경제를 약화시키고, 이를 재원없이 과다한 정부재정지출을 통한 매표로 연결했다는 의심을 사고 있다. 現 윤석열 정권에서는 이와는 반대로 민간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코로나 현황을 과소평가한다는 의심이 있다. 참고로 코로나 백신/마스크에 대한 한국어 뉴스와 영어권 뉴스의 사후평가는 그야말로 천양지차다. 세월호 사건때를 상기해보라. 정부의 메가폰에서 나오는 소리를 듣고 이를 믿을지 안 믿을지로 논쟁하는 것이 아니라, 일단 무조건-반복적으로 믿고, 다수라는 이유만으로 .. 리세션 국가순위 및 글로벌 금리 예상 ====================================== [목차] Ⅰ. 2023년 리세션 확률 국가별 순위 Ⅱ. 국가별 정책금리 및 실질금리 현황 Ⅲ. 2023년 5월 FOMC 금리 인상 예상 Ⅳ. 2023년말의 금리 예상 Ⅴ. 5월에 주가상승 예상 섹터(Seasonality 계절성) ====================================== Ⅰ. 2023년 리세션 확률 국가별 순위 다음은 2023년 4월 기준으로 Bloomberg가 집계한 자료입니다. 미국의 대리전쟁과 파이브아이즈 동맹의 지지국 들이 경제 리세션에 빠질 가능성이 가장 높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많은 제재를 받는 국가인 러시아는 중간 정도의 하락 가능성이 있습니다. 한국과 일본도 러시아와 비슷한 수준입니다. BRIC.. 이전 1 2 3 4 5 6 ··· 8 다음